신종플루 중앙재난대책본부 본격 가동
신종플루 중앙재난대책본부 본격 가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과부 ‘중앙인플루엔자수습본부’도 운영키로

신종인플루엔자와 관련한 학교대책 종합 관리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중앙인플루엔자수습본부를 구성·운영한다.

중앙재난대책본부(본부장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는 4일 첫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교과부 수습본부는 교과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여, 종합상황반을 설치하여 상시 상황을 관리·대응한다. 교육청, 수속기관, 대학은 대책본부 등 대책반을 편성·운영하며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교과부와 긴밀한 연계체제를 유지한다.

신종플루로 인한 수능시험 우려와 관련, 교과부는 수능시험장에 환자수험생이 불편없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분리시험실, 병원시험장을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예비소집일 수험표 배부시에는 수험생 모두를 대상으로 발열검사를 실시하며, 시험당일에는 의사 1명, 보건교사 2명을 각 시험장에 배치한다. 분리시험실 수용인 초과가 예상되는 시험장은 사전에 분리시험장을 확충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대책본부는 이 밖에 △학교예방접종을 조기에 완료하고 △항바이러스를 적극적으로 투약해 신속히 진료를 하며 △시·도별 가용자원을 총동원한 병상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등 대책을 논의했다.

한편 중앙대책본부는 신종플루 확산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14조)에 따라 4일부터 본격 가동됐다. 그동안의 보건복지가족부 주도의 의료방역 대응체계 중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수습본부(복지부),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자치단체), 관계부처가 연계·협력하는 범정부 통합적 대응체계로 확대·개편된 것이다.

중앙대책본부는 중앙본부장(행안부 장관), 차장(제2차관), 총괄조정관(재난안전실장), 통제관(재난안전관리관)의 조직체계를 갖췄다. 통제관 아래 행안부와 타부처 파견공무원으로 구성된 3개의 실무반과 보건의료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보건의료지원관으로 구성된다.

중앙대책본부 회의는 중앙본부장 주재로 주 1회 열릴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신종플루 대책추진현황, 합동대책마련, 부처별 역할조정 및 협력체계 유지 등 신종인플루엔자 대응 범정부 대책이 논의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