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중장기 개방형 국토발전 전략에 따라 동·서·남해안권이 지역간 협력·통합을 이루는 국토발전의 중심으로 개발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2일 열린 ‘2009년 제3차 지역발전위원회’ 회의에서 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동·서·남해안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구상안은 기존 개별 행정구역 단위로 이루어지던 개발방식과는 달리 각 해안권의 고유 특성과 잠재력을 극대화하도록 행정구역과 광역경제권을 초월한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남해안은 ‘새로운 경제·물류·휴양허브의 선벨트’로 개발해 ▲글로벌 경제·물류 거점, ▲세계적 해양 관광·휴양지대, ▲통합 인프라 및 초국경 네트워크, ▲중남권의 동서 통합 상징지역으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우선 부산·광양항의 항만시설을 확충하고 자유무역지역을 확대해 복합산업 물류단지로 조성해 간다. 이밖에 조선특화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항공우주, 로봇, 핵과학 등 미래 첨단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또 한려수도권, 다도해권, 남도문화권 등 지역별로 체류형 휴양·위락단지 및 문화예술·생태관광벨트를 만들어 관광상품 등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남해안 일주철도를 점차 복선·전철화하고 내륙연계 고속도로를 건설해 통합 교통인프라를 구축해가는 방안도 포함됐다.
한·일간 경제·산업분야의 공동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한일 해협권 공동기구 설립 등 협력사업을 추진하며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를 계기로 남해의 해안경관을 세계에 홍보하고, 초광역적 관광프로그램도 개발할 예정이다.
동해안은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에너지·관광벨트’로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 산업 벨트 구축, ▲국제관광거점 기반 조성 및 창조산업 육성, ▲산업부문별 연계강화를 통한 기간산업 고도화, ▲인프라 구축 및 환동해권 교류협력을 추진한다.
원자력(울진, 월성, 고리), 석유(울산), LNG(삼척) 등 에너지 공급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연료전지·풍력 등 차세대 그린에너지 산업을 육성, 저탄소 녹색시범단지 등을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또 설악~금강권·경주권을 중심으로 국제 관광거점을 만들고 울릉도와 연계되는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한편, 관동8경·백두대간 옛길 등 역사문화자원과 청정해양자원을 결합한 창조사업을 발굴해간다.
포항(철강, 신소재)~경주(부품)~울산(자동차·조선)을 연결하는 트라이앵글 산업경제권을 만드는 한편 구미(전기·전자), 대구(부품) 등 내륙과도 연계해 각 산업 부문을 융합해간다.
동해안의 열악한 남북교통망을 단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동서연결 철도 등 내륙과의 연계교통망을 검토 중이며 울산·포항항은 물류거점 항만, 속초·동해항은 북방교역 항만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서해안은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 산업의 융복합 벨트’로 개발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는 ▲국제비즈니스 거점화와 환황해권 협력체계 활성화, ▲경쟁력 있는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역내 외 연계 인프라 구축, ▲글로벌 해양 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 등이다.
인천공항과 연계된 BTMICE(Business Travel·Meeting·Incentives·Convention·Exhibition) 복합단지를 조성해 국제비즈니스 핵심지대를 형성한다.
아산만·파주·평택 등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허브를 구축하고, 수도권-충남-전북을 연계해 자동차·로봇·기계 등 주력산업과 IT산업간 융합을 촉진한다.
주요 물류거점을 도로·철도망 등으로 연결하고, 장기적으로 연안 초고속 페리운영 방안을 검토해 중국북부 주요항만과 협력체제를 구축한다.
자연환경이 좋은 충남지역에 국제관광거점을 만들기 위해 갯벌 등 서해안의 생태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복합형 해양레저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구체적인 구상안을 만들어 각 해안권별 발전종합 계획을 확정함과 동시에, 행정절차 간소화 등 제도정비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