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찾았다
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찾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감귤부산물 발효해 의료·산업용 소재 개발

농촌진흥청은 물성이 우수해 인공피부 등 의료용과 산업용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신소재인 감귤 유래 겔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인공피부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피부 등에 손상이나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상처보호와 결손부위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써, 인공피부로 사용하려면 순수한 물질이고 수분확산능이 기본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이번에 개발한 감귤 유래 겔은 수분보유력(97.5%)이 뛰어나고 고형분의 80% 이상이 순수 식물성 셀룰로오즈로서 발효균이 감귤에 있는 영양분을 사용해 만든 것이다.

순수 셀룰로오즈는 섬유 입자가 나노형이기 때문에 고르고 탄성이 뛰어나 활용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기존 균보다 겔을 2배 이상 빠르게 만들어 내는 능력을 지닌 생성균을 찾아내어 신속하고 간단하게 고품질 겔을 제조,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했다.

특히, 감귤에서 유래한 겔은 과실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매우 순수한 식물성 셀룰로오즈이기 때문에 독성이 없어 사람에게 직접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일본에서 개발한 제품은 기술력이 낮아 이어폰 울림판으로만 사용하며, 필리핀의 야자 겔은 품질이 낮아 식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개발된 시제품은 의료용인 피부보호용 겔 원판, 상처 치유용 겔과 각종 화장품 제조시 원료의 50% 이상이 첨가되는 향장용이 있다.

상처치유용 겔은 상처에 습윤을 유지하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해 세포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치료용 거즈로 개발되어 각종 치료의약품 등을 첨가할 경우 약효지속 및 치료효과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향장용 제품은 마스크팩·영양크림 등 감귤 겔을 90% 이상 함유한 매트릭스(matrix)로 기존 화학 매트릭스를 대체하여 피부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은 피부 결합력으로 인해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피부 침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를 주도한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최영훈 연구관은 “세계 모든 나라가 새로운 소재 개발에 혈안이 되고 있는데, 우리의 순수한 바이오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영역에서 탄생된 것이니 만큼 다른 나라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참신하고 이용도가 매우 다양한 개발품”이라고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소개했다.

또한, “개발된 소재는 우리나라 의료·제약 업계 뿐만 아니라 향장, 공업업계에도 관심을 끌고 있다”며, “현재 의료용품 및 향장용 소재시장의 경우 최대 5천억원 이상으로 추산되며 무난한 시장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