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곡이 몸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잡곡이 몸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항암·항당뇨 등 건강기능성 밝혀내

농촌진흥청은 조·기장·수수·팥·식용피 등 잡곡이 항당뇨, 항암, 항염증, 항산화 활성 등 건강기능성이 높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구명했으며 그 중 수수와 기장의 기능성이 매우 뛰어나다고 23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수수와 기장의 추출물이 혈당상승을 유발하는 α-아밀라제와 α-글루코시다제 활성을 50%이상 억제해 항당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표적인 효소활성 저해물질인 아카보즈(Acarbose)와 대등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장과 수수 추출물을 암세포에 처리한 결과, 암세포 사멸율이 각각 77.7%, 64.1%로 항암효과가 뛰어났다. 이러한 효과는 정상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암세포에만 특이적인 효과임을 확인했다고 농촌진흥청은 설명했다.

세균성 염증유발물질인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에 대해서도 조·기장·수수·팥 등이 40~97%까지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기장이 97.3%, 수수가 88.5%로 높은 항염증 활성을 보였고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수수와 식용피의 경우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진 토코페롤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의 경우, 항산화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흑미에 비해 2배가량 많았고 Gentisic acid 등 19종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 밖에 식용피, 팥, 조, 기장의 경우도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농촌진흥청 기능성작물부 이학동 부장은 “이러한 잡곡의 건강기능 성분에 대한 활성평가를 동물시험까지 확대하고 안전성을 검토한 후 기능성 농식품 및 품종개발과 같은 고부가가치 신성장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