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는 16일 “세종시 문제는 국가적 대사”라며 “더 이상 눈앞의 이해관계에 매몰돼선 안되며, 넓고 긴 안목으로 급변하는 세상의 흐름을 읽고, 나보다 우리를 앞세우고 오늘의 집착에서 벗어나 내일의 눈으로 세종시를 봐야 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오늘은 세종시 관련 법률안을 국무회의에 상정하는 역사적인 날로, 국무총리에 지명을 받던 날 처음으로 문제를 제기한 뒤 우여곡절이 많았고, 권한 또한 매우 컸다”고 그간의 소회를 피력하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세종시는 대한민국의 희망이며, 과학과 기술이 교육과 문화와 어울러져 신명나는 미래를 만들어낼 국가발전의 원동력이며, 21세기 대한민국이 더 큰 나라로 도약하는 선진일류국가의 전진기지”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점에서 “과거의 약속에 얽매여 우리자녀들의 장래까지 어둡게 할 수는 없다"면서 "민주국가에서 이견이 있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지만 대립과 반목에 잡힌다면 그러한 사회는 더 이상 진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이어 “7년을 기다려온 지역주민들의 고통이 너무 크고, 첨단 분야의 투자를 약속한 기업들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며 “어제의 잘못을 바로잡아 새로운 내일을 준비하는 것은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우리 모두의 시대적 소명”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와 함께 “국무위원들 모두 굳건한 신념과 사명감을 가지고 발전안을 관철하는데 열과 성을 다해 달라”고 당부하고 “세종시야 말로 대한민국을 세계로, 미래로 이끄는 또 하나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재외국민의 안전문제와 관련 “러시아에서 우리 유학생들이 잇따라 피습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며 “우리주권이 미치지 않는 외국에서 국민들을 보호하는 것은 어렵고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재외국민의 보호는 헌법이 정한 국가의 의무이고, 자국민의 안전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은 성숙한 세계국가로서 당연한 책무”라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외교부 등 관련부처에서는 재외국민 안전확보를 위한 제반 시스템을 재점검해 보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해외활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다시 한 번 보완해 달라”고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