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장병 아직 옆에 있는 듯”
“실종장병 아직 옆에 있는 듯”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천안함 생존장병 일문일답…일부 장병 눈시울

7일 경기 성남 국군수도병원에서 열린 합동조사결과 발표는 천안함 생존 승조원이 참석한 가운데 침통한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

생존 장병들이 언론에 노출되는 것을 꺼리고 있어 최원일(중령) 함장을 포함한 장교 몇 명만 나올지 모른다는 예상과 달리 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은총 하사를 제외한 전원이 나왔다. 참석 장병 중 일부는 휠체어를 탄 상태였고 다른 환자들도 상당수 상반신이나 목 보호대, 깁스를 하거나 목발을 짚고 있었다.

이들은 겉보기에 큰 외상이 없었지만 모두 어두운 표정이어서 심적으로 괴로운 상태임을 짐작하게 했다. 특히 합동조사단 대변인 문병옥 해군준장이 당시 상황을 시간대별로 설명할 때 일부 장병들은 침통한 표정으로 눈가를 훔치거나 눈을 감기도 했다. 다음은 생존장병과의 일문일답 요지.

- 함장은 실종 장병들이 살아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는지.

= 최원일 함장 : 아직도 실종 장병들이 옆에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살아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으며 복귀신고하는 날을 기다리고 있다.

- 몇 시쯤 사고가 났는지와 사고 직전 상황을 설명해 달라.

= 작전관 박연수 대위 : 마지막으로 눈으로 확인한 시간은 함교에서 당직사관이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 상에 21시 24분이었다. 사고 직전까지 정상 근무하고 있었다. 어떤 상황이었다고 언론에 보도되는데 당시 상황이라고 할 만한 내용은 없었다. 상황이라는 용어 자체도 잘못된 것 같다. 특별한 상황은 없었다.

= 기관장 이채권 대위 : 부연설명하겠다. 사고 당시 기관장실에 있었는데 긴급 상황이었거나 상황에 대한 조짐이라도 있었다면 고속 추진을 위해 기관조종실에 가 있었을 것이다. 본인이 기관장실에 있었다는 것은 아무런 조짐이 없었다는 증거다.

- 사고 순간에 폭발음이 났다는데 이후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

= 병기장 오성탁 상사 : 사고 순간 지하 2층 격실에 있었는데 ‘쾅’ 하는 소리와 함께 몸이 붕 떠오르고 정전이 됐다. 귀가 아플 정도로 폭발음이 났으며 펑 하는 순간 배가 90도로 기울었다.

- 화약냄새나 여타 폭발 징후는 없었나.

= 오 상사 : 병기장이라 누구보다 화약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한다. 화약이었다면 불이 나거나 냄새가 진동했을 텐데 화약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다.

- 후타실에 왜 5명의 장병이 있었는가.

= 오 상사 : 병기장이라 운동기구를 담당한다. 그 시간대면 항상 가 있었다. 후타실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5명은 항상 운동하는 인원들이었다.

- 침몰 직전 휴대폰으로 통화한 장병은 누구인가. 급하게 전화를 끊을 상황이 있었나.

= 전탐실 허순행 상사 : 21시 14분에서 18분까지 집사람, 딸과 통화했다. 개인적인 내용이다. 집사람이 현재 임신 중이다.

- 천안함 내부적으로 보수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됐나.

= 기관장 이 대위 :물이 샌다는 얘기는 함정 내부의 온도차 때문에 생기는 응결수가 떨어지는 것을 오해한 것이다. 함정 외부에서 물이 스며드는 상황은 없었다.

- 사건이 발생하고 다른 배가 올 때까지 1시간 정도 뭘 하고 기다렸나.

= 최 함장 : 최초로 함교에서 좌현으로 통로를 나왔다. 구조가 올 때까지 추워하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해하는 장병들을 안정시키고 환자들이 먼저 구조될 수 있도록 인원관리를 했다. 갑판에 올라오니 함미 쪽이 안 보였고 환자와 대원들이 갑판으로 올라오고 있었다.

- 물기둥을 못 봤다는데 쿵 소리 이후 특이 상황을 목격하신 분이 있는가.

= 전탐장 김수길 상사 : 쿵 소리와 함께 자리에서 나와 전탐실로 가려는데 3초 후 꽝 소리와 함께 배가 기우는 느낌이 났다. 소화 호스를 타고 5~7분 걸려 탈출해 외부로 나왔는데 함미가 보이지 않았다. 물기둥 이야기가 나오는데 함정은 야간이 되면 등화관제를 한다. 다들 문을 닫고 있어 밖으로 나갈 수가 없기 때문에 물기둥을 볼 수 없었다.

- 암초 가능성은 전혀 없는 것인가.

= 조타장 김병남 상사 : 배가 암초에 걸리면 기본적으로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 사주·뻘에 걸리면 출렁거린다. 외부 충격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