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 산하 LG CNS(이하 LG)가 서울시 발주 공사 입찰에서 담합을 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로부터 제제를 받았다. 공정위는 지난 5일 서울시 교통관리시스템 설치공사 입찰에 GS네오텍(이하 GS)을 끌어들여 담합한 내용을 적발해 LG에게 17억여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아울러 LG의 입찰에 ‘들러리’로 참여한 GS에 대해서는 8억여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본지는 LG가 서울시 교통관리시스템 공사에 대해 입찰담합 사건에 GS를 들러리로 끌어들인 내막에 대해 직접 짚어봤다.
GS지오텍 들러리로 끌어들여…공정위로부터 과징금 징계 받아
‘친분관계’로 일사분란하게 답합… CNS, “담합 아니다”고 주장
공정위가 SI업계의 입찰담합에 처음으로 칼을 댔다. 공정위에 따르면 서울시 교통관리시스템 설치공사에 가격을 담합해 입찰을 따낸 혐의로 LG에 대해 과징금 17억1600만원을 부과했다. 또한, LG의 담합입찰에 ‘들러리’로 참여해 대가를 바란 GS에 대해서도 과징금 8억5800만원을 부과했다.
들러리 입찰로 낙찰 받아…
공정위가 LG의 담합행위에 조사를 나선 것은 서울시의 의혹제기부터 시작됐다. 당초 서울시가 책정한 교통관리시스템 설치공사의 예산으로 책정한 금액은 246억이었다. 이 공사에 LG는 245억3000만원에 투찰했고, GS의 경우에는 245억5000만원에 투찰했다.
두 업체가 투찰한 결과 2000만원을 적게 제출한 LG가 낙찰을 받았다. 하지만 서울시는 공사 예산에 99.7%에 해당하는 금액을 적어낸 점과 두 업체의 가격 차이가 2000만원 밖에 나지 않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공사 설계도면 역시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것에 의심을 했고 이에 공정위에 담합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서울시가 이러한 의혹을 제기해 LG가 낙찰을 받기는 했으나 서울시와 계약체결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LG는 공사를 낙찰 받을 수 있도록 형식적으로 지오텍을 참여시켰다. 이를 위해 LG는 GS의 입찰 참여를 위해 갖가지 자료를 제공했다. LG는 입찰에 필요한 서류인 기본설계도면, 우선시공분 실시설계, 가격입찰서, 기타 부속서류를 작성하는 데 자료를 제공했으며 설계 심의와 관련해 상호간에 의사연락을 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LG가 낙찰 받도록 한 사실이 조사결과 밝혀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LG와 GS, 설계용역업체 등을 조사한 결과, LG와 GS가 투찰 전 긴밀히 협조하는 내용을 받은 이메일과 설계용역업체 담당자들의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친구끼리 담합해 ‘속전속결’
한편, LG는 이러한 ‘들러리 참여’의 조건으로 서북권 BIS(버스정보시스템)사업 참여를 제안했다. 이러한 서북권 BIS 사업에서의 컨소시엄 참여를 제안하자 GS 입장에서는 거절할 이유가 없었고 이에 GS은 들러리 입찰의 참여를 참여를 결정한 것이다.
하지만 LG는 들러리 참여 조건을 변경하여 GS가 서북권 컨소시엄을 포기하는 대신에 GS에게 ‘20억 수주(1억4000만원 이익) 보장과 함께 타 사업의 공동제안, 설계 보상비 1억 보상 등을 지난해 4월23일 결정했다.
이러한 과징금 부과 결정에 대해 LG CNS 측은 억울한 표정을 짓고 있다. LG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공정위의 조사 당시부터 담합을 한 행위가 없다”고 주장했다며 “아직까지 공정위의 의결서가 도착하지 않아 아직까지 회사 입장을 밝히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공정위의 의결서가 도착하는 대로 법무팀에서 검토해 대응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업계서는 LG CNS와 GS지오텍 간의 과거 관계를 들어 담합행위가 수월하게 이뤄졌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LG CNS와 GS네오텍은 과거 같은 LG그룹 산하의 계열회사였기 때문이다. 이후 구씨 일가와 허씨 일가가 LG와 GS로 그룹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됐다.
현재 CNS의 대표이사는 과거 LG서브원 G-엔지니어링의 사업본부장을 맡았던 김대훈 대표가 맡고 있다. 뿐만 아니라 LG그룹 재경팀 상무를 맡았던 이혁주, 전 LG전자 정보통신 부사장과 현 LG그룹 사장을 맡고 있는 조준호, LG전자 정보통신 분야 부사장을 지냈던, 예정현 씨가 이사를 맡고 있다.
GS 역시 LG그룹 출신 인사가 임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LG전선 임원 출신의 최성진 대표이사를 필두로 LG전자 임원 출신의 허정수 회장, LG전선 임원 출신의 남기정 부회장, LG전자 임원 출신의 현충남 감사가 경영 전반을 맡고 있다.
이러한 사실의 공정위의 조사에서도 밝혀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양쪽 회사의 이메일을 조사한 결과 담합행위가 매우 일사분란하게 이뤄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전하며 “아마 과거 같은 회사이지 않았다며 두 회사가 굉장히 빠른 시간에 담합을 결정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 CNS 측이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 결정에 대해 수긍하지 않고 있어 업계는 과연 이 담합 사건이 법정공방으로 이어질지 여부에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