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는 29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천안함 사태와 관련, “(일본은) 국제공조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한국의 입장을 적극 지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제주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한·일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에서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하토야마 총리가 이번 사태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이명박 대통령의 냉정하고 절제된 대응에 대해 상당히 평가하며 이 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하토야마 총리는 이어 조총련계 재일동포들의 대북 송금제한 조치, 선박검색법 등 일본이 취한 독자적인 대북 제재 조치 내용에 대해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우리 한국이 이번 천안함 사태가 발생했을 때 세계 어느나라보다 먼저 한국정부를 강력히 지지하면서 대한민국 국민을 진정한 이웃으로서, 가까운 나라로서 대해줬다”며 사의를 표했다.
이어 “앞으로 양국은 이러한 국내외 어려운 문제를 풀어나가는 가장 가까운 나라로서 경제를 위시한 여러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하토야마 총리는 “다시 한번 46명의 (천안함) 희생자에 대해 일본 정부를 대표해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며 “아시아에서 일본과 한국 양국이 다양한 신뢰관계를 강화하는 게 세계 평화·공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FTA(자유무역협정) 협상 재개 문제와 관련, “한·일 FTA가 중장기적으로 한·일 양국 발전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면서, “먼저 협상 재개를 위해 진행 중인 사전 협의의 격을 한단계 높여서 협상을 좀 더 가속화·본격화 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하토야마 총리는 “지난 100년의 과거사를 확실히 청산하기 위해 반성할 일은 반성하겠다”며 “앞으로 100년의 한일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FTA 체결이 중요하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또 FTA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감을 하면서도 일본의 비관세장벽 등의 문제를 지적하고,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한국 기업이 최근 수년간 일본에서 철수한 사실을 지적하면서 하토야마 총리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하토야마 총리는 “우리 정부에서 이같은 비관세장벽의 해소를 위해서 적극 노력하겠다”며, “ 이른바 일본의 배타적(폐쇄적)인 유통 구조의 관행이 있다면 이것은 없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두 정상은 앞으로의 100년 미래를 염두에 둔 미래지향적인 결실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동관 홍보수석에 따르면, 양국 정상회담은 당초 단독회담 20분, 확대회담 40분으로 1시간 가량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단독회담이 50분으로 늘어났다. 이 대통령은 원자바오 총리와의 회담결과,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내용을 설명하는 등 단독회담 50분 중 절반 가량을 천안함 사태 설명에 할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