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술통 재사용하지 마세요”
“대나무술통 재사용하지 마세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중독균 자랄 수 있어…식품용 기구 안전사용 가이드 배포

대나무술통은 식중독균이 자랄 수 있어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합성수지(플라스틱)로 만든 바가지, 소쿠리 등을 장시간 가열할 경우 재질 변형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식품용이 아닌 재활용 고무대야는 중금속이 나올 수 있어 조리기구로 쓰면 안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식품용 조리기구의 올바른 사용법’ 리플릿 3만 부를 제작해 전국 음식점에 배포했다고 9일 밝혔다.

리플릿에는 식품용 조리기구를 종류별로 ▲대나무술통 및 대나무밥통 ▲재활용 고무대야 ▲합성수지제 바가지 ▲장식용 도자기 등 ▲발포성 폴리스틸렌(일부 용기 재질) ▲식품 포장용 랩(wrap)의 올바른 사용법을 담고 있다.

리플릿에 따르면 대나무술통은 용기 입구가 좁아 세척과 건조가 어려워 식중독균이 자랄 수 있어 재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대나무밥통도 세척 후에도 음식물찌꺼기가 남아 식중독균이 증식될 수 있어 재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빨간색 재활용고무대야도 쓴 비닐을 재활용한 것으로 중금속이 식품으로 옮겨질 우려가 있으므로 식품용 조리기구로 쓰면 안 되며, 합성수지제 바가지나 소쿠리 등을 냄비에 넣고 장시간 가열하지 말아야 하며, 식품용이 아닌 도자기나 유리 제품도 식기로 쓰면 안 된다.

발포성 폴리스티렌 재질의 컵라면용기에 있는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조리하면 재질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