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여건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취업자수가 2002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고용률은 상승했으며, 실업률도 크게 하락했다고 9일 밝혔다.

기획재정부가 통계청의 지난달 고용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취업자는 2430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58만6000명 증가했다. 통계청은 “수출증가세 지속과 투자 호조 등 경기회복세가 견조해지면서 취업자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민간부문에서 공공행정을 뺀 취업자수도 2002년 7월 이후 가장 많은 51만7000명이 늘어나는 등 민간부문의 일자리가 크게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서비스업 중심의 취업자가 늘면서 비농림어업 취업자수는 2002년 7월 이후 가장 많은 67만3000명이 늘었다.
특히 1990년대 초반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제조업 취업자가 2004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5개월 연속 증가했다.
보건·복지, 사업지원, 전문과학기술 등 유망 업종 중심의 서비스업 취업자도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했다.
재정부는 특히 여성 취업자 증가폭이 크게 확대되고 청년 취업자 감소폭이 줄어드는 등 고용회복세가 취약계층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고용률·실업률 등 주요 고용지표도 꾸준히 나아지고 있다.
지난달 고용률은 60.0%로 전년 동월대비 0.7%p 상승하며 2년만에 60%대를 회복했다.
계절적 요인을 반영한 계절조정 고용률은 59.1%로 1월을 저점으로 4개월 연속 상승세다.
실업률도 전년동월대비 0.6%p 하락한 3.2%로 안정세를 회복했는데, 특히 청년층 실업률은 6.4%로 전년 동월대비 1.2%p 내렸다.
재정부는 경기회복의 흐름이 이어지면서 고용여건이 나아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상용직 비중이 증가하고 청년·여성 등 취약계층 고용이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고용의 양과 질이 함께 나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재정부는 향후 경기회복세의 지속에 따라 하반기에도 민간부문의 고용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부는 그러나 지난해 6월 희망근로 등 추경 일자리사업 추진의 영향으로 공공부문 취업자수는 전년에 비해 다소 줄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부는 고용 회복세가 이어져 서민의 체감 경기가 회복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을 위한 범정부적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재정일자리사업의 추진과 함께 국가고용전략회의를 통해 서비스산업 선진화, 노동시장 효율화 등 고용창출력을 높이는 구조개선 과제를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