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자·다중인격자” vs "정치 성향 보수…한나라당에 더 맞다”
“배신자·다중인격자” vs "정치 성향 보수…한나라당에 더 맞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엄 전 사장 “고향을 위해 일하고 싶다”이광재 직무정지, 강원지사 자리 눈독?

엄 전 MBC 사장이 한나라당 후보로 강원지사에 출마할지 여부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언론사는 지난 1일 “여권 핵심 관계자가 엄 전 사장의 출마를 권유하기 위해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전 직접 만나 출마를 권유했다”고 보도했다. 엄 전 사장은 “이번 재·보선에는 나가지 않겠다”고 답변했지만 “다만 고향에서 일하고 싶다”고 여운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 같은 발언은 7·28 재·보선에는 출마하지 않았지만 강원도지사 선거가 다시 치러질 경우에는 출마를 검토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사진출처: http://cafe.daum.net/saveourmbc]

설명했다. 엄 전 사장은 평창에서 초등학교를 다녔고 춘천고를 졸업했다.

엄기영, 이미 정치적 행보 있었다

이 같은 발언은 7.28 재보선에는 출마하지 않았지만 강원도지사 선거가 다시 치러질 경우에는 출마를 검토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 핵심 관계자는 “지난달 재·보선을 앞두고 엄 전 사장 영입을 추진했지만 ‘나서지 않겠다’고 해 없던 일이 됐다”며 “그러나 당시 엄 전 사장이 ‘고향을 위해 일하고 싶다’는 입장은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직무정지 중인 이광재 지사의 형이 확정될 경우 당내에 ‘엄 전 사장을 지사 후보로 영입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엄 전 사장이 여야 모두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치 성향은 보수에 가깝고 한나라당에 더 맞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엄 전 사장이 강원지사에 뜻이 있는 것으로 안다. 다만 현재 이광재 지사가 직무정지 중이고 대법원 판결이 남아 있어 자신의 의중을 나타내길 꺼릴 것”이라며 엄 전 사장의 강원지사 출마설에 힘을 실었다.
이런 분위기가 형성된 것은 엄 전 사장의 정치적 행보도 한몫했다는 평이다. 엄 전 사장은 지난달 25일 재보선 지역구인 강원 철원, 화천, 양구, 인제에 출마한 한기호 한나라당 후보의 양구연락사무소를 방문, 격려했다. 또 그는 같은 날 정선을 찾아 태백, 영월, 평창, 정선의 염동열 한나라당 후보와도 저녁식사를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엄 전 사장은 “개인적인 친분 때문에 격려차 방문했던 것이며, 정치적인 뜻은 없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정치권 인사들은 하나같이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한다.
정치권 한 인사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으로부터 끊임없는 ‘러브콜’을 받았던 엄 전 사장이 재보선 당시 강원도지역 후보 사무실을 찾은 것 자체가 정치에 욕심이 있는 것 아니냐”라며 “정치적으로 뜻이 없다면 이러한 행보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엄 전 사장 측은 “강원도를 위해 일하고 싶은 건 맞지만 구체적으로 결정한 건 없다”고 밝혔다. 엄 전 사장이 지난 재·보선 선거운동 기간 강원도 지역에 출마한 한나라당 한기호 후보와 염동열 후보를 잇따라 만난 사실을 두고 본격적인 정치적 행보를 시작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엄 전 사장은 지난 6·2 지방선거 때 민주당으로부터 도지사 후보로 나서 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거절했다. 이번 재·보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과 민주당 양쪽에서 구애를 받았으나 거절한 바 있다.
그러나 선거를 사흘 앞둔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한기호 후보의 사무소를 격려 방문하고 염동열 후보와 저녁 식사를 같이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엄 전 사장의 한나라당 입당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광재 유죄 확정시 출마?

직무정지 상태인 이광재 강원도지사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1심과 2심에서 각각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1년 및 추징금 1억1400여만원을 선고 받고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만약 대법원 판결이 10월 재·보선 등록일인 9월27일을 넘길 경우 강원지사 선거를 할 수가 없어 자칫 내년 4월까지 도지사 공백사태가 벌어질 수 있고 이는 동계올림픽 유치하는 데도 상당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내년 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실사단이 동계올림픽 유치 준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강원도 평창을 방문할 예정인데 도지사 공백사태가 계속될 경우 IOC 실사단이 ‘평창은 동계올림픽 개최지로서 부적절하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사 재판 결과가 다시 유죄로 나온다면 경우에 따라 10월 재보선을 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가정법이다. 유죄가 나올지 아닐지도 단언하기 어렵고, 10월 재보선에 포함될 것인지는 더욱 예측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엄 전 사장의 강원도지사 출마설은 더욱 힘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엉뚱하게도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논란 과정에서 물러났던 그가 여당 강원도지사 출마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MBC 사장 자리를 명예롭게 물러나지 못한 엄 전 사장으로는 명예회복과 고향발전을 위해 강원도 지사를 내심 꿈꾸고 있고, 한나당으로서는 비교적 이미지가 깔끔한 엄 전 사장을 영입할 경우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는 것이다.
물론 엄 전 사장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일은 없다. 그렇다고 강원도지사 선거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지도 않았다. 한나라당은 7·28 재·보궐선거 전에도 엄 전 사장을 영입해 선거에 투입하려 했으나 엄 전 사장은 “고향에서 일하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엄 전 사장 측 관계자는 “(향후 진로와 관련해)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엄기영 ‘다중인격’으로 규정

하지만 이런 그의 행동을 두고 경향신문이 2일자 사설을 통해 ‘다중인격’이란 표현을 썼다.엄 전 사장은 이미 정치를 하고 있다. 경향신문이 2일자 사설에서 밝힌 진단이다. 엄 전 사장의 한나라당 강원도지사 후보설을 놓고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강원도지사 선거에 나설 것인지를 따지기 전에 그는 이미 정치권에 한 발짝 발을 들여놓았다.
7·28 재보선의 일이다. 그는 강원도 철원·화천 ·양구·인제 지역구에 출마한 한기호 후보와 태백·영월·평창·정선 지역구에 출마한 염동렬 후보를 격려했다. 모두 한나라당 소속이다.
이를 근거로 경향신문이 지난 2일자 사설에서 그를 ‘다중인격’으로 규정했다. 경향신문은 “그가 한나라당 도지사 후보가 되든 말든 이미 다중인격적인 처신으로 엄기영이라는 이름 석자가 지닌 방송의 공영성·독립성이라는 가치는 심각하게 훼손됐다”면서 “유명 언론인이 자기의 명성과 영혼을 파는 행위는 개인적 손실일 뿐 아니라 사회적 손실이기도 하다”라고 지적했다.
엄 전 사장은 정치권의 관심을 받아온 인물이다. 그는 MBC 기자와 뉴스데스크 앵커, 사장을 지내면서 일반인에게 친숙한 인물이다. 개혁적인 이미지도 지녔다.
엄 전 사장을 이미지로 볼 수밖에 없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그의 이미지는 괜찮은 편이다. 그는 강원도 출신이다.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에서는 공개적으로 그의 영입을 추진하기도 했다.
엄 전 사장 영입을 추진했던 현 이광재 강원도지사는 영입에 실패하자 본인이 직접 강원도지사 선거에 나섰고, 민주당 간판을 단 후보가 강원도지사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이광재 지사는 ‘박연차 사건’에 연루돼 재판을 받는 상황이었지만, 강원도민들은 그의 결백 주장을 믿고 그를 선택했다. 한나라당 절대 강세지역이었던 강원도는 이광재의 등장과 함께 바뀌었다.
7·28 재보선에서 민주당의 은평을 참패에 언론 시선이 쏠려 있었지만, 강원도 3곳의 지역구 중 민주당이 2곳을 차지했고, 나머지 한 곳도 박빙의 승부를 벌인 점은 ‘이광재 효과’를 빼고는 설명이 안 된다.
민주당은 당혹스러운 상황이다. 지난 2월 엄 전 사장이 정권에 의해 사실상 강제 사퇴를 당하자, 당시 이광재 의원이 직접 나서 6·2 지방선거에서 강원지사 후보로 영입을 추진했던 터다. 당내에선 “창피스럽다. (엄 전 사장이) 만약 그런 식으로 지사 재선거에 나온다면 강원도에서 저항이 엄청날 것”이라고 ‘배신감’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한나라당과 보수진영 내부에서도 “엄 전 사장 영입은 필승 카드”(한나라당 중진 의원)라는 긍정 평가와, “창녀의 윤리도 없는 정권”(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이란 비난이 엇갈린다.

취재/이행종 기자

사진/이광철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