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쓰레기 196만톤 감량, 경제적 효과 2,795억원
부산시는 쓰레기종량제 시행 10년동안 부산의 쓰레기는 196만톤이 감량되었고 2,795억원의 경제적 효과 등이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밝혔다.
쓰레기종량제는 쓰레기 감량 및 재활용품 분리수거 확대를 위하여 1995년부터 “쓰레기를 버린만큼 그 처리 비용을 낸다”는 원인자부담원칙에 기초하여 시행된지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평가할 때 쓰레기에 대한 시민의식 변화 등 많은 성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10년의 성과를 보면 발생량은 종량제 시행 전(‘94년)에는 1일 4,590톤이었으나 2004년도에는 3,815톤으로 16.9%가 감소되었고 재활용은 1,012톤에서 2,246톤으로 2배이상 증가되는 등 10년간 총 196만톤이 감량되어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2,795억원의 경제적 편익을 가져왔고, 1인당 1일 발생량은 1.21㎏에서 1.04㎏으로 감소, 재활용량은 0.26㎏에서 0.42㎏으로 증가되었다.
쓰레기 처리 수단별로는 종량제 시행전(‘94년)에는 총 발생량의 76.5%가 매립 처리되었으나 현재는 22.6%로 매립 의존율이 감소되어 현 생곡매립장을 2028년이후 까지도 장기사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소각은 1.4%에서 18.5%, 재활용은 22.1%에서 58.9%로 크게 증대하는 등 쓰레기 처리 수단이 많이 변화되었다.
아울러, 쓰레기 버리는 방법이 타종 상차방식에서 문전수거 방식으로 전환되고, 제조·유통업계의 과다포장 억제 등 쓰레기 감량을 위한 생산·판매 체계의 변화 등 시민에 대한 청소행정서비스가 크게 향상되고, 종이, 플라스틱 등 재활용 원료공급이 원활화되어 재활용·자원화사업이 새로운 환경산업으로 자리메김하게 되었다.
또한, 물건 구입시 쓰레기 발생량이 적은 상품을 선호하고, 장바구니 이용, 중고물품의 교환사용, 가전·가구제품의 재활용을 위한 재활용센터 및 매장의 설치·이용확대 등 폐기물에 대한 시민의식이 건전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부산시는 앞으로 쓰레기종량제의 정착을 계기로 “쓰레기는 곧 자원이다“는 인식을 갖고 5R(Reduction/감량, Recycling/재활용, Reuse/재이용, Recovery/에너지회수, Reutilization/자원화) 시책을 적극 추진하여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청소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