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소비자물가 3.6% 상승
9월 소비자물가 3.6% 상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 급등…공산품·서비스요금은 안정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9월 대비 3.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기획재정부가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물가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공산품, 서비스 요금이 안정세를 기록하며 근원 물가는 안정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기상악화와 공급부족으로 배추, 시금치 등 채소류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 물가는 지난달보다 평균 1.1%오르며 지난 1월에 이어 8개월 만에 3% 대에 재진입했다.

9월 물가상승 요인을 보면 8월보다 평균 1.1%올랐는데 이중 농축수산물의 요인(기여도)가 0.98%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상승의 88%를 차지했다.

특히 채소류는 9월 물가상승 기여도가 0.78%p에 달해 전체 물가상승의 70%를 차지하며 지난달 물가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요금은 지난달 대비 0.0% 올라 안정세를 유지했다.

공업제품은 국제유가와 환율안정의 영향으로 LPG 등 석유류가격이 하락세(1.3%하락)를 보이면서 안정세를 보였지만 개인서비스를 제외한 공공서비스 요금은 도시가스요금 인상으로 8월보다 0.7%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채소류 공급물량 부족 등 공급 측 교란요인을 뺀 근원물가는 1.9% 수준으로 수요 측 물가 압력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

채소류 왜 급등했나?

8월의 폭염과 9월의 잦은 비 등 이상기온과 태풍 곤파스 등의 영향으로 채소류 가격이 크게 올랐다.

기상청이 밝힌 8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8℃ 높았고, 9월1일∼19일 평균기온도 2.7℃높았다.

반면 7월1일∼9월 19일 강우 일수는 평년보다 12일 많은 44.5일을 기록했다.

특히 고랭지 무와 배추의 주산지인 대관령 지역은 8월 평균기온이 22.2℃로 평년보다 3.2℃높았고, 강우 일수도 16일로 평년보다 4.2일 많았다.

채소류는 26개 품목(전체 소비자물가품목 489개)으로 구성돼 있으며, 물가 비중이 1.45%에 불과하지만 9월 상승률(전월비 44.7%)이 매우 높아 9월 물가상승을 주도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기후 여건에 따른 불확실성은 있지만 이달 중순이후 채소류의 수급 애로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무와 배추는 이달 중순 이후 준고랭지 및 가을 무, 배추가 출하되면 수급여건이 개선되고 가격급등세도 완화될 것으로 기획재정부는 예상했다.

11월 이후에는 본격적인 가을 무, 배추가 출하되면서 공급 확대로 가격도 점차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기획재정부는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시금치, 상추 등은 더위가 끝나면서 작황이 개선돼 가격의 조기 하락이 예상되며, 일부 채소의 도매가격은 이미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의 채소류 도매가격은 상추(4kg)가 20일 7만6646원에서 30일 2만6028원으로, 시금치는 20일 5만8534원에서 30일 1만3708원으로 떨어졌다. 호박도 20개 들이 기준으로 4만8818원에서 2만917원으로 절반 이상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9월 소비자물가의 이례적 상승은 기후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공급부문 충격에 따른 것이라며 농산물 가격이 평년 수준의 상승률(00~09년 평균, 3.2%)을 유지했다면, 9월 물가상승률은 2.9% 수준이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게다가 개인서비스 요금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근원물가도 1%대를 지속하는 등 수요측면의 물가압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물가흐름은 그동안 크게 상승한 채소류 가격의 정상화 정도 및 속도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며, 시금치, 상추 등 생육기간이 짧은 품목은 기상여건이 호전되면 조기에 안정화될 것이며, 무, 배추도 가을 상품이 출하되는 이달 하순 이후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밖에 물가의 주요변수인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은 수급여건 및 최근 동향을 볼 때 급등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되지만 대외부문의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기획재정부는 밝혔다.

한편 중앙공공요금은 9월 도시가스요금 인상을 끝으로 올해에는 추가 인상 계획이 없는 만큼 물가안정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