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오송시대’ 다음달 개막
보건·의료 ‘오송시대’ 다음달 개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약청 등 6대 국책기관 이전 계획 확정

보건의료 관련 6대 국책기관이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에 새 둥지를 튼다.

보건복지부는 19일 국무회의에서 오는 11월부터 2달간 식약청 등 6대 국책기관의 오송 이전 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 은 오송생명과학단지내 40만㎡의 터에 자리잡고 있으며, 건물 19동에 연면적 14만㎡로 현 과천청사와 유사한 규모이다.

▲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 조감도

시설 인프라 측면에서도 OECD 국가 중 최상급 수준으로, 특수실험실(BSL3)은 동양 최대시설이며, 동물실험동도 기존보다 2배 규모로 확장, 사육동물별로 최첨단 중앙제어시스템이 구비돼 있다.

이전하는 국책기관 6곳은 식약청을 포함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이다.

이전 규모는 직원 2,400여명에 실험장비, 동물, 사무기기 등 5t 트럭 1700대 분량이다. 서울 서대문구 불광동에서 150㎞ 떨어진 충북 오송까지 이동하는 작업은 이전 비용만 324억원에 달한다.

이번에 이전하는 물품과 장비는 70% 이상이 고위험병원체·실험동물 등 특수물품과 특수장비로 전문 이사업체들이 특수 제작된 차량으로 운반한다.

이산화탄소배양기, 유전자증폭기 등 유해물질 실험분석 장비 1300여대는 이동 중 진동을 최소화하는 특수 무진동 차량을 이용해 운반되며, 바이러스 등 국가표준품은 72시간 온도가 유지되는 특수 포장재 및 냉장·냉동 차량을 이용한다.

생육 중인 쥐와 원숭이 등 실험동물은 1300여마리로 최소화하고, 사고시 멸실에 대비해 수정란 7,500여개를 제작·동결해 이전한다. 방사성동위원소는 외부 유출이 되지 않도록 차폐가 된 전용 용기에 담아 전용 운송차량으로 옮겨진다.

복지부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송을 위해 연말까지 청사 내에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이전 중 돌발상황에 대비한 ‘비상조치계획’을 마련해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차량 호송(경찰청), 응급사태를 대비한 구급, 소방 등을 위해 경찰청, 소방방재청, 도로공사, G-20 경호안전통제단, 문화체육관광부, 국정원 등 관계부처와도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고위험병원체 등 특수물품은 정상회의 폐막 이후로 이전 일정을 조정했다.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더디고 힘든 이사이지만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며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이 차질없이 정착되면 관련 기업이나 연구소 등 민간투자도 활기를 띠어 오송 단지의 조기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오송 이전 사례를 대규모 국책기관 지방이전의 본보기로 삼아 향후 세종시 등 정부기관 이전대책에 오송이전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