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철강재 생산 5.8% 증가한 6,912만톤으로 7,000만톤 육박
2011년 철강재 생산 5.8% 증가한 6,912만톤으로 7,000만톤 육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국내 철강재 생산이 7,000만톤대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철강협회(회장 정준양)가 최근 조사 발표한 ‘2011년 철강재 수급전망’에 따르면 2011년 우리나라는 건설을 제외한 수요산업의 완만한 성장세 지속 및 2010년도에 신증설한 설비의 생산성 향상 등으로 철강재 생산은 전년대비 5.8% 증가한 6,912만톤을 생산하여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는 건설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성장지속으로 전년대비 3.8% 증가한 5,391만5천톤에 이를 전망으로 이는 호황기인 2008년 5,857만2천톤의 91%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수출은 글로벌 경제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인도 등 신흥국의 고성장 지속과 해외공급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한 2,579만5천톤으로 전망되며, 수입은 국내 신설비 가동 및 생산성 향상에 따른 국내공급 증가로 전년대비 11.9% 감소한 2,202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한편 조강생산은 고로 신규가동과 합리화, 전기로 가동능력 향상으로 전년대비 11.0% 중가한 6,431만톤을 생산하여 2007년 5,000만톤대 진입이후 4년만에 6,000만톤대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전로는 현대제철 2고로와 포스코의 신제강 공장 가동 등으로 전년대비 17.7% 증가한 3,965만톤의 조강을 생산할 전망이고, 전기로는 전년대비 1.7% 증가한 2,466만톤의 조강을 생산함으로써 2011년의 전로 생산비중이 60%(61.7%)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로 보면 중후판 생산은 2011년에 지난 2년간 신설한 설비의 생산성 향상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0만톤대(1,057만톤)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스테인리스를 제외한 열연코일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부제철의 생산성 향상 등으로 전년대비 14.4% 증가한 3,351만톤을 생산하여 사상 처음으로 3,000만톤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협회 오일환 부회장은 “전체적으로 볼때 2011년 국내 철강재 수급 상황은 3∼5%대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실질 수요 증가세가 축소되는 가운데 국내공급 증가에 따른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업계의 협력방안 도출 등 안정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