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 전기호)는 지난 2월 1일부터 일제강점하 강제동원으로 인한 피해신고를 접수한 결과 4월 6일 현재 10만명이 넘어 섰다고 밝혔다.
신고한 내용을 유형별로 보면 노무자가 69,513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군인 18,724명, 군속 12,794명, 위안부 183명 순이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13,865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 12,957명, 경북 11,286명, 충남 11,060명 순으로 신고가 이루어졌으며 울산이 959명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 재외공관에서도 피해신고를 접수한 결과 미국이 82명으로 가장 많이 접수하였으며, 일본 4명, 우크라이나 3명 등 총 89명이 신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신고 과정에서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징용자 명부 19건, 비망록 2부, 사진 16매 등 총 49건을 제출받아 분석 중에 있으며 이 자료 등은 피해사실 입증에 긴요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진상조사 신청은 총 16건이 접수된 가운데 3월 25일 위원회를 개최하여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희생자 명부와 합사경위, 1945년 8월 광복 후 조선인들이 타고 귀환 중이던 ‘우키시마호’가 침몰된 사건, 일본정부가 1948년 2회에 걸쳐 한국으로 송환했다는 7,600여구 유골의 유실경위 등 3건에 대하여 먼저 진상조사를 실시하기로 의결하였다.
위원회에서는 피해신고 내용을 토대로 사실 확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가급적 생존자와 입증자료가 있는 신고자를 우선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며, 입증자료가 없어 인우보증으로 신고한 건에 대하여는 일본 정부 및 기업, 개인 등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 등을 최대한 확보하여 대조하는 등 빠른 시일 내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위원회에서는 아직도 피해신고를 하지 않은 피해자나 유족은 조속한 시일 내 신고를 하도록 당부하였으며,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징용자 명부나 비망록 등 관련 자료를 위원회에 제출하면 관련 규정에 따라 자료의 가치 등을 판단하여 소정의 사례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