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나라당 권영세 의원은 러시아 유전개발 투자의혹과 관련, “한국과 러시아 양국간인수계약협정서를 추진한 것이 철도청 내부문건에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1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지난해 8월12일 철도청 내부회의에서 왕영용 개발본부장이 보고한 ‘신규 진출사업 설명회’ 문건을 인용,이같이 밝혔다.
권 의원은 “보고서 4쪽에 보면 ‘국제기업간의 거래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채굴권 불인정이라는 사업 리스크(위험성)에 대비해 한국과 러시아의 국가간 인수계약협정서 추진중임(국가 외교·안보위원회 주관)’으로 되어 있다”면서 “당시 보고자였던 왕 본부장이 국가 외교·안보위원회 주관으로 (이 사업을) 추진했고, 이광재 의원도 철도청에 같은 제안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위원회는 국회가 아니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이 의원과) 공동제의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느냐”고 질의했다. 지난 10일 공개한 회의록에서 논란이 된 ‘외교·안보위(이 의원)’도 국회 상임위가 아니라 NSC의 오기일 수 있다는 것이다. 권 의원 측은 “NSC 내에 대통령의 자원외교를 담당하는 파트가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같은 추정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추병직 건설교통부장관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이어 권 의원은 “당시 회의에서 북한 건자재 채취사업도 실제로 추진된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보고서에는 통일부 산하 사단법인 우리민족교류회의 자회사인 ㈜코린트인터내셔날과 북측의 조선대외경제협력위원회 사이에 예성강·임진강 건자재 채취사업 추진계약이 체결되어 우리측 사업추진을 전담할 회사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돼있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또 “석유공사가 이 사업 참여를 검토한 바 있다는 사실을 철도청이 알고 있었고 심지어 2003년 11월 석유공사가 작성한 ‘러시아 현지출장보고서’까지 받아 검토한 것이 우리은행 대출신청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도청이 사전에 모든 사실을 알고도 추진했다면 이것은 외부세력의 개입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추 장관은 “보고받지 못했다” “소상하게 파악하지 못했다” “잘 모른다”고 대답하면서 공격을 피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