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살리기 사업 현장에서 침몰한 준설선이 27일만에 인양됐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15공구를 맡은 현대건설의 준설선이 2월 17일 오후 6시경 인양됐다고 밝혔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시공사인 현대건설측은 침몰 준설선을 인양함에 따라 안전한 장소에서 사고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또한 낙동강환경청은 준설선 운영사인 현대건설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하고 있으며 무리한 야간작업이 침몰의 원인이 됐는지 공사 관계자의 과실이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낙동강환경청은 낙동강살리기 사업 모든 구간에 기름 유출 등 오염 사고가 터지면 대규모 피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지난 16일부터 경남지역 전체 공사 현장에 걸쳐 폐유·폐기물 적정 관리, 선박 내 폐유 적정 처리 여부 등에 대한 특별 점검을 벌이고 있다.
사고가 난 준설선은 지난달 22일 오전 2시경 야간작업을 하다가 배의 균형을 맞추는 물탱크로 물이 과다하게 유입돼 균형이 잃으며 낙동강 15공구 현장에서 친몰했다.
15공구는 김해시 식수원인 창암취수장과 7km,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매리취수장과 23km 상류에 있는 지역이다.
낙동강사업 공사 현장에서 장비가 물에 잠기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6일 오전 5시께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동강 하천 준설 현장에서 제방이 터져 중장비가 물에 침수되는 사고도 벌어졌다.
시민단체에서는 이번 사고와 관련 공사속도를 높이기 위해 무리한 공사를 강행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4대강사업저지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는 지난 14일 경남도청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사고 원인조사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만 맡겨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낙동강 공사현장 준설선의 실태조사와 야간공사를 금지하고 식수원에 직접적으로 오염을 미칠 수 있는 상류지역에 대한 공사는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본부는 “낙동강 사업에 투입되고 있는 준설선은 바다 준설에 투입된 것으로 바다와 달리 강물은 추위에 얼고 철판도 언다”며 “구체적 사고 원인과 실태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시민단체인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은 “방제작업과 인양작업 모두 정부가 계획한 대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정부의 방제계획은 현장상황에 대하여 충분히 꼼꼼하게 검토 반영하지 못한 주먹구구식이었던 것”이라며 “정부 스스로는 철저하지 못하면서 식수원에 유출된 기름방제작업, 인양작업, 사고원인, 재발방지책이 궁금하여 현장을 찾는 시민단체, 지방의원, 국회의원의 현장방문은 철저히 통제했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이어 ▲식수원을 오염시킨 사고 준설선을 개방 ▲준설선 침몰 사고원인 공개 규명 ▲시민참여를 보장과 사고재발방지를 위한 준설선 실태 조사 ▲ 노동인권 유린, 식수위협하는 야간공사 중단을 요구했다.
한편 현대건설측 관계자는 “준설선의 야간작업은 작업예정대로 진행한 것”며 “현재 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