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연당한 봄 처녀, 공격성공률99.9%
실연당한 봄 처녀, 공격성공률99.9%
  • 김창호 시민
  • 승인 2005.04.18 18: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람은 살랑살랑 부는꽃피는4월, 햇살이 눈부신 봄이다. 만약 봄을 타는 사람이라면 봄날의 따스한 기운이 못마땅할 터. “햇빛 눈이 부신 날에 이별해 봤니, 비 오는 날 보다 더 슬퍼 옛날 가요의 가사처럼 날씨 좋은 날의 이별은 더 슬픈 법이다. 여성포탈사이트 젝시인러브(www.xy.co.kr)가 여자 628명, 남자 100명이 3월1일부터3월31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에 참여하여.남녀 회원들이 밝히는 나만의 이별경험, 이별공식을 들어보자. 사실 진정한 사랑을 만나는 데 차이고 찬 횟수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상처는 가슴에 남기 마련. 여기 웬만한 이별은 모두 겪어봤다는 남녀들의 솔직담백한 고백 결과가 있다. 가장 먼저, 상대에게 차인 횟수를 물은 결과, 2명 중 1명 꼴(남자 64%, 57%)로 1~2번 차인 적이 있다고 답했다. 3회 이상 차인 사람도 남자 20%, 여자 11%나 되어 사랑의 아픔을 겪은 사람들이 의외로 많았다. 그렇다면 자신이 남을 찬 횟수는 얼마나 될까? 남자는 56%, 여자는 41%가 1~2번이라고 답했으며 3회 이상 찬 경험이 있는 사람도 남자 24%, 여자 50%나 기록했다. 대체적으로 1~2번쯤은 차이고 찬 경험이 있으며 찬 횟수보다는 차인 횟수가, 남자보다는 여자가 남을 찬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슴에 생채기를 내며 헤어지는 이별의 주요 원인들은 무엇일까? 남녀 모두 ‘그저 인연이 아니어서’란 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니탓내탓해도 결국은 인연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 남자 32%, 여자 34%가 꼽은 결과다. 또한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자는 나 자신(29%)에게, 여자는 상대방(15%)에게 원인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설문들이 비슷한 결과치를 나타낸 반면, 유독 이별의 방식에서만큼은 남녀 차이를 보였다. 남자의 40%가 이별방식으로서 ‘흐지부지 연락 끊기’를 택했지만, 여자의 38%는 ‘전화로 통보’하는 방식을 택했다. 끝까지 악역을 원치 않는 남자로선 가타부타 설명 필요 없이, 눈물 콧물 짜내지 않고 욕 얻어 먹을 일 없이 은근슬쩍 상황을 모면하려 든다. 여자 역시 직접 만나서 통보하긴 힘들지만 간접적으로나마 자신의 뜻을 명확히 전하는 쪽을 택했다. 모든 것은 시간이 해결해준다 했던가. 이별의 상처 역시 시간이 필요하다. 남자 32%, 여자 42%가 치유기간으로 ‘3개월 이내’를 꼽아 그다지 길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1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파 역시 남자 27%, 여자 18%로 적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물론 헤어지자마자 즉시 치유된다는 사람들도 있었다. 남자 6%, 여자 10%를 나타냈다. 이별의 또 다른 치유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남녀 모두 ‘사람들을 만나며 바쁘게 지내는 것’(남자 33%, 여자 40%)을 택했다. 그 다음으로 남자의 22%가 ‘운동, 취미생활’을 택한 반면, 여자의 29%는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방법을 택했다. 새롭게 찾아오는 사랑은 아픈 추억을 덮어주는 좋은 방법이 될 때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세상이 빨리 돌아간다지만 옛 연인의 대한 예우를 할 줄 아는 사람들이 많았다. 무려 남자 41%, 여자 30%가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까지 1년 이상 걸린다고 답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3개월 안으로 새 연인을 만난다는 사람이 남자는 28%인데 비해 여자는 38%를 나타내 차이를 보였다. 상처를 치유하는 것도, 새로운 만남을 가지는 것도 여자가 빠른 편이다 상처는 또 다른 진실에 눈을 뜨게 한다. 이별의 상처가 사람들에게 어떤 깨달음을 안겨줬을까? 정작 버스가 떠나야만 아쉬워하는 쪽은 남자, 버스가 떠나기 직전엔 눈물 콧물 다 짜도 막상 가고 나면 뒤도 안 돌아보는 쪽은 여자가 강했다. 남자의 28%가 ‘그 사람이 정말로 내게 소중했구나!’를 가장 많이 꼽은 반면, 여자의 42%는 ‘아닌 인연은 빨리 끝내는 게 낫구나’라는 깨달음을 얻었다. 물론 어느 쪽이 옳다고 할 수는 없지만 가장 중요한 건 있을 때 잘 하고, 시작을 했으면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게 아닐까? 남자와 여자는 서로에 대해 이렇게 말할 지도 모른다. 여자들은 세상에 남자는 나뿐인 척 굴다가 뒤돌아서서는 금세 딴 놈 만나더라. 지조 없는 것들!”, “남잔 웃겨! 용감한 척 터프한 척 다하더니 왜 헤어질 땐 가타부타 말도 없이 연락을 끊냐? 그저 숨기 바쁘다니까.” 그러나 진실은 한 가지다. 서로를 욕하는 자, 헤어졌든 말든 그 당시에는 사랑하지 않았을까? 이별에 가슴 아파하는 여자에게 봄의 따뜻한 햇살을 안겨줄 남자, 시린 가슴으로 4월을 맞이하는 남자에게 새로운 봄의 추억을 안겨줄 여자를 만나보자. 진정한 사랑은 찾아오기 마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