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영향으로 대학가 주변 건물 경매 가격 상승
전세난 영향으로 대학가 주변 건물 경매 가격 상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가 주변에 직장인, 신혼부부까지 몰려

 전세난이 오피스텔, 소형원룸까지 번지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대학가 주변에 직장인, 신혼부부까지 몰려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이 여파는 경매시장에서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부동산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대학가 주변 건물이 높은 가격에 낙찰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지옥션(www.ggi.co.kr)에 따르면 이달 9일 성균관대 인근의 종로구 혜화동 다가구주택(건물면적 274.6㎡)은 첫 경매에서 감정가 5억4709만원을 넘겨 5억8875만원(감정가 대비 107.6%)에 낙찰됐고, 지난달 28일 건국대 근처의 광진구 화양동 다가구주택(건물면적 122.8㎡)도 첫경매에서 감정가 대비 101.3%인 4억9500만원에 소유자를 찾았다. 
 

 공실이 하나도 없는 서울대 근처의 린하우스(원룸 24개실)도 1월 6일 경매에 나와 감정가 12억8596만원에서 한번 유찰된 후 11억5155만원에(감정가 대비 89.5%) 새 주인을 찾았다. 
 

 원룸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다가구주택 뿐만 아니라 대학가 주변 오피스텔도 고가에 낙찰되고 있다. 
 

 직장인들이 많이 선호하는 주거지역인 홍익대 주변의 마포구 동교동 효성홍익인간 오피스텔 2개(각 건물면적 32.9, 43.5㎡)가 지난달 1일 감정가 대비 각각 123%, 106%에 낙찰됐다. 
 

 또 이달 8일 상명대 인근의 종로구 홍지동 세검정아트 오피스텔(건물면적 46.8㎡)도 감정가 1억3000만원에서 한번 유찰된 후 11명이나 응찰해 감정가 대비 97.7%인 1억 2698만원에 소유자가 바뀌었다. 
 

 비교적 고가여서 일반인들이 잘 접근하지 못하는 고시원도 경매로 잘 나오진 않지만 한 번나왔다 하면 바로 팔려나가고 있는 추세다. 연세대 근처의 서대문구 창천동 선정고시텔이 이달 3일 경매로 나와 감정가 33억5413만원의 81.1%인 26억8331만원에 낙찰됐다. 
 

 다가구주택과 오피스텔의 최근 통계를 살펴보면 오피스텔의 경우 3월 들어 가격이 하락했지만 다가구주택, 오피스텔은 둘 다 지난해 12월부터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강은 팀장은 “전세난이 심각하다보니 소형아파트 부족으로 1~2인 가구 수요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학가까지 이동을 했고 도시형생활주택 건축붐으로 대학가와 역세권 땅값이 오르면서 임대 사업에 투입되는 비용이 증가해 기존의 건물을 경매로 낙찰 받으려는 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