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거면 공청회 왜 하는 것이냐”
“이럴거면 공청회 왜 하는 것이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민대책위, 당인리발전소 환경영향평가 공청회 무산 주장

27일 열린 공청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박강수 주민대책위 위원장 사진/이광철 기자 
공청회에 참석한 주민들이 '근거없는 문화지구 즉각 취소하라'하는 팜플렛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이광철 기자

“이럴거면 공청회 왜 하는 것이냐”

27일 당인리 발전소에서 열린 ‘서울 LNG 복합화력대체건설 사업 환경영향평가 공청회’에서 합정전략정비구역 상수,당인 주민대책위원회 소속 주민들이 공청회 무효를 주장하고 나섰다.

주민대책위원회 소속 주민들 이날 오전 10시 당안리 발전소 강당에서 공청회에 참석, “용역이 동원된 공청회가 진정한 공청회냐”라며 “당인리 발전소는 실수하고 있다. 대립이 아닌 화해를 선택했어야 한다”고 당인리 발전소측을 강력히 비판했다.

박강수 주민대책위 위원장은 이날 “이번 공청회는 무효다”고 전제한 뒤 “당초 서울시가 발표했던 원안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박 위원장은 “공기업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면서 용역 깡패들을 돈을 주고 동원하는 천인공노할 상황이 벌어진 데 대해서 주무 부서인 지식경제부 장관은 물론 한전 사장, 그리고 중부 발전소 사장은 즉각 사죄하고 자진 사퇴해야 할 것이며, 이번 사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 및 정부는 물론 정치권에서는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청회에서는 군데군데 몸싸움이 벌어졌고 이내 주민대책위 주민들은 철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처럼 주민들이 공청회에 신경전을 벌이는 이유는 서울시가 2년 전 제시한 개발계획안과 올해 1월 26일 발표한 내용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민대책위 주민들은 주장하고 있다.

주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합정 지구중 특히 상수역 특별1지구의 (상수,당인지역) 용적률은 서울시내 한강변 개발지역 중 최저이다. 합정역 특별구역은 종상향 2단계를 하여 일부를 상업지구로 지정하고 용적률을 630%로 하였으나 같은 지역인 상수역 특별구역은 3종일반주거지 그대로 둔채 용적률은 180%로 하였다.

이 때문에 합정 지구(상수,당인지역 상수역특별1구역)에서는 기부채납 비율이나 구역 축소 조정, 문화 또는 역사지구 지정으로 지나친 고도제한 및 낮은 용적률 등 개발 조건을 둘러싸고 연일 불만이 터져 나오게 된 것이다.

또한 천주교성지 및 선교사 묘지, 당인리 발전소를 묶어 테마를 문화로 개발한다는 취지이기 때문에 고층의 재개발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불만 중에 하나다.

특히 한강변에서 유일하게 미개발 지역인 상수역 부근의 주민들은 재개발로 지역발전을 기대하다 서울시의 재건축 수정안을 보고 “이럴 바에는 재개발을 해서 무엇 하느냐, 차라리 재개발을 반대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날 주민들은 “고층의 건물이 들어서면 절두산 천주교성지와 양화진묘지를 훼손한다는 서울시의 논리를 도저히 납득 할 수 없다”며 “잘사는 동네에 비하여 가난한 서민들이 모여 사는 이곳에 적절치 못한 결정을 한 서울시의 속셈을 이해 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편 주민대책위원회 소속 주민들은 공청회 중간 밖으로 빠져나와 당인리 발전소 앞에서 집회를 갖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