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는 ‘외국어 회화’, 40대이상은 ‘취미특기’…직장인 희망하는 직원교육
2030대는 ‘외국어 회화’, 40대이상은 ‘취미특기’…직장인 희망하는 직원교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의 직원교육이 직원들의 업무 능력과 동기를 높이는 계기가 됨은 물론, 회사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도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기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받았던 직원교육 분야는 업무과 관련된 직무교육이며, 수강 후 만족도도 이 분야가 가장 높았다. 반면 직장인들은 앞으로 회사의 직원교육을 통해 배우고 싶은 교육과정으로 20~30대는 외국어 회화40대 이상은 취미특기분야를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직장인 468명을 대상으로 회사에서 직원교육을 받았던 경험이 있는가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6.3%(357)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회사의 직원교육이 실제 업무능력 향상과 업무동기 향상 그리고 회사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 조사결과 각 문항별로 과반수이상인90.8%, 87.4%, 73.1%, 77.3%의 직장인이 도움됐다(매우도움+도움)’고 답했다.

특히, 업무능력 향상과 업무동기 향상 항목에서는 매우 도움됐다는 응답자가 각 16.8%, 16.5%로 상대적으로 높아, 직원교육을 통해 업무능력을 쌓고 일의 동기를 찾는 직장인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풀이됐다.

직원교육 분야는 업무와 관련된 직무교육을 받았다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고, 수강 후 만족도도 직무교육이 가장 높았다.

가장 많이 받았던 직원교육 분야(*복수응답)를 조사한 결과, ‘직무교육5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컴퓨터 활용능력(39.2%) 회사의 입문교육 (35.6%) 대인관계·커뮤니케이션 (34.5%) 이미지컨설팅(옷차림, 전화매너 등_31.7%) 순으로 많았다.

가장 만족스러웠던 직원교육 분야(*복수응답)직무교육이 응답률 35.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대인관계·커뮤니케이션 (23.8%) 컴퓨터 활용능력 (20.7%) 외국어 (17.1%) 이미지컨설팅(16.8%) 순으로 수강 후 만족도가 높았다.

교육방식은 오프라인 집합교육형태가 응답률 84.0%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온라인 동영상교육 (44.3%) 실습형·체험교육 (22.4%) 독서교육 (17.9%) 순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회사의 직원교육을 통해 배우고 싶은 교육과정은 외국어회화(42.7%) 직무교육(34.4%) 취미특기(27.4%) 순으로 높았으나, 연령대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20대 직장인은 외국어회화를 배우고 싶다는 직장인이 42.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직무교육 (32.5%) 취미특기 (29.2%) 문화예술 (28.3%) 대인관계/커뮤니케이션 (22.5%) 순으로 높았다.

30대도 외국어회화를 배우고 싶다는 직장인이 46.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직무교육 (37.1%) 컴퓨터 활용능력 (26.2%) 취미특기(25.5%) 순으로 많았다.

반면 40대이상 직장인 중에는 취미특기’(32.3%)에 대해 배우고 싶다는 직장인이 가장 많았고, 이어 컴퓨터 활용능력 (30.6%) 외국어 회화 (27.4%) 직무교육 대인관계/커뮤니케이션 재테크(각각 25.8%) 순으로 배우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