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희 의원, “편향된 연구진으로 추진된 4대강 고용영향평가는 무효”
최영희 의원, “편향된 연구진으로 추진된 4대강 고용영향평가는 무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진 8명 중 6명 정부 관계자, 교수 3명 중 2명은 대운하 찬성 입장”

민주당 최영희 의원이 4대강 사업 고용영향평가에 대해 대운하 찬성론자 일색으로 구성돼 시작부터 제기되었던 4대강 사업 고용영향평가 결과 왜곡 우려가 현실화됐다며 유감을 표했다.

최 의원은 30일 보도자료를 내고 고용노동부가 30일 고용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4대강 사업이 직접고용자 16,523, 유발취업자 수 71,877명 등 88,4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됐다고 밝혔지만, “고용노동부가 추진했던 ‘4대강 사업 고용영향평가에 참여하는 연구진 대부분이 대운하를 직간접적으로 찬성하는 인사로 구성돼 고용영향 평가가 왜곡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4대강사업 고용영향평가 계획서를 통해 연구진 구성 및 운영에 있어서 해당정책계량경제학고용영향평가 전문가 중 평가대상사업에 중립적적인 연구자로 연구진을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총 8명으로 구성된 4대강 고용영향평가 연구진 가운데 4명은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진, 1명은 고용노동부 재출연기관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로 알려졌다.

최 의원은 이 두기관 모두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또는 재출연기관으로 정부의 입김을 배제할 수 없는 기관이다외부 교수 3명 중 2명은 대운하 찬성론자여서 객관적이고 제대로 된 고용영향평가가 이뤄질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경북대학교 교수 A씨는 경상북도 경부운하 자문위원으로 참여했고, ‘4대강 살리기 민관 협의체공동 준비 위원장 이력을 소유했고, 인하대학교 교수 B씨는 경인운하 건설에 찬성한 바 있다며 지적했다.

아울러 최 의원은 오늘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4대강 사업 88,400명의 일자리 창출 규모에는 규 신규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고용유지까지 포함된 수치라며 이는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할 당시 홍보했던 신규 취업 19만명 창출과는 180도 다른 결과라고 비판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00912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로 기대되는 효과로 신규 취업 19만명 창출 및 23조원의 생산유발효과 발생한다고 밝혔고, 대대적인 홍보를 펼친 바 있다.

최 의원은 고용영향평가에 참여한 연구진을 편향되게 구성한 것은 4대강 사업의 일자리 창출, 고용창출 논란에 면죄부를 주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면서 중립적인 인사로 다시 구성해서 고용영향평가를 실시해야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