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전당대회 후폭풍…박근혜 대세론 굳히기
7·4 전당대회 후폭풍…박근혜 대세론 굳히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력 무게중심 미래권력으로 쏠린다

비주류 홍준표, 친박계 유승민 전당대회서 1, 2위 차지
전당대회 이후, 여권 권력지형 요동치며 ‘신주류’ 등장 
‘친 박근혜 지도부’ 구성, 당내 朴의 위상 점차 높아져
‘친박계 세 불리기 가속화’, 朴의 대권행보 빨라질 듯

7·4 전당대회는 한나라당의 신주류 탄생을 알리는 자리였다. 비주류에 속하는 홍준표 의원과 친박계 후보로 나선 유승민 의원이 1, 2위를 차지한 것. 또한 선출된 최고위원 대부분이 경선 마지막까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구애를 멈추지 않는 등 7월, 첫 발을 뗀 한나라당은 박 전 대표에게 우호적인 이른바 ‘친 박근혜 지도부’가 이끌게 됐다. 

한나라당이 7·4 전당대회에서 선택한 건 ‘여왕’이었다.

범 친박계 지도부 탄생!

당 대표로 선출된 이는 당내 비주류로 분류돼 온 홍준표 의원이었다. 홍 의원은 4일 서울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선거인단 투표와 여론조사 결과를 합쳐 4만1666표를 얻었다. 2위는 3만2157표를 얻어 홍 의원과 9509표 차로 2위를 기록한 친박계 유승민 의원에게 돌아갔다.

이러한 결과는 친박계의 지원으로 가능했다는 게 정치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홍준표 신임 대표는 친박 중진들의 측면 지원을 받았으며, 유승민 최고위원은 아예 친박계 후보로 전당대회에 출마했기 때문이다. 1인2표제로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친박계가 한표를 유 최고위원에게, 다른 한표를 홍 대표에게 줬다는 것. 
홍 대표가 최근 “지금은 박근혜 시대”라며 “나는 박 전 대표의 보완재이지 대체재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박 전 대표를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것이 친박계 인사들에게 우호적인 인상을 심어줬다는 게 정가 관계자들의 견해다.

일각에서는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당원과 국민들이 선택한 것이 ‘박근혜 전 대표’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내년 총선,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유력 대권주자인 박 전 대표를 선택, 그와 가깝거나 그에 우호적인 인사들을 당의 중심축으로 세웠다는 것이다.

유 최고위원의 전당대회 성적이 이를 뒷받침한다. 유 최고위원은 전당대회에 나서기 전까지만 해도 그리 두드러진 인사가 아니었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 출신인 그는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을 도왔다. 그러나 박 전 대표가 경선 패배 후 정중동 행보를 보이면서 덩달아 자세를 낮춰야 했다.

유승민 2위, 이변

그의 인지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은 전당대회 여론조사에서 9.5%의 지지율로 5위에 턱걸이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70%를 차지하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1위를 바짝 추격하는 2위를 차지, 상황을 반전시켰다. 예상 밖의 선전으로 종합순위 2위를 기록한 것. “나경원 의원과  3, 4위 다툼을 할 것 같다”던 유 의원 선거캠프의 예상마저 깬 놀라운 결과였다.

홍 대표와 유 최고위원 뿐 아니라 이번 7·4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최고위원 다수가 박 전 대표에게 우호적인 인사로 채워졌다. “유 최고위원은 물론이고 홍 대표까지 범 친박계가 만든 지도부”이며 “다섯명의 지도부가 모두 박 전 대표한테는 부정적이지 않은 사람들, 더 나아가서는 친박계의 핵심이거나 친박계의 지지를 받아서 당선 된 사람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번 지도부는 박근혜 지도부”라는 게 한나라당 새 지도부에 대한 세간의 평이다.

여기에 앞서 선출된 황우여 원내대표, 이주영 정책위의장 등 원내지도부까지 더하면 당 지도부 7명 중 최소 5명이 박 전 대표에 우호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한나라당의 무게 추는 박 전 대표 쪽으로 기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월박 현상이 가속화되며 당 운영에서 박 전 대표가 차지하는 위상은 점차 더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인 견해다.

힘의 균형 ‘친이’에서 ‘친박’으로

홍 대표는 대표 수락연설에서 “박 전 대표 등 유력 대선주자를 보호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선 데다 다음날인 5일에도 “공정한 선거 관리가 이뤄지고 방해 공작만 없다면 현재로선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의) 대통령후보가 되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할 정도로 ‘박근혜 대세로’이 요동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5일 “(당내) 힘의 균형이 친이 쪽에서 친박 쪽으로 넘어갔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라며 “이는 박 전 대표의 미래권력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당심을 확인한 박 전 대표의 대권행보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부터 정책 분야를 시작으로 서서히 대권행보를 시작했지만 전당대회를 통해 보다 확실한 답을 얻은 이상 머뭇거릴 까닭이 없다는 게 그 이유다.

전당대회에서 친박계가 ‘웃은’ 반면 친이계가 ‘울었다’는 것도 박 전 대표의 발걸음을 가볍게 한다. 친이계의 몰락으로 김문수 경기도지사, 오세훈 서울시장, 이재오 특임장관, 정몽준 전 대표 등 친이계 차기 대선주자들이 입지가 불안해진 것. 이대로라면 홍 대표의 발언처럼 박 전 대표가 대선후보가 되는 것이 거의 ‘확실’할 정도다.

친박계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9월쯤 대선주자로서 보폭을 조금씩 넓혀갈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속도전 vs 신중론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박 전 대표가 ‘정중동 행보’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역대 대선에서 ‘대세론’의 주인공들이 결국 대권을 잡지 못했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좀 더 신중하게 대선에 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지난 대선이후 차기 대권경쟁에서 줄곧 선두를 달리며 여야 차기 대선주자들의 견제를 받아온 만큼 때 이른 ‘대세론’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것.

특히 내년 4월 총선 결과가 박 전 대표의 대권도전에 큰 변수가 될 것이라는 게 정치권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이중 한 인사는 “‘박근혜 지도부’ 탄생으로 박 전 대표의 책임이 굉장히 무거워 졌다”며 “이번 지도부가 잘못하면 그 부담은 다 박  대표에게 전이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와 가깝거나 그에게 우호적인 인사들로 꾸려진 지도부이니 4월 총선에서 패하면 박 전 대표도 역풍을 비껴가지 못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유 최고위원은 7.4 전당대회 결과와 관련, “친박이 내게 표를 준 것은 사실이지만 ‘박근혜 체제’가 됐다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라면서 “홍준표 대표 체제가 된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dkslek. 2011-07-11 11:21:07
조심해야한다. 지난번 국가 부도원흉 영삼이 찿아가서 뭔 정치 키드라고 씨부리는 꼬라지 보니.. 준표도 03이 지령 받아... 이인재 같이 야당 푸락치 노릇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손학규 만나서 포옹하면서 우리가 남이가.하는 거 같던데..둘다 03이가 정치에 입문 시킨 것들이다. 뭔 수작 부릴지 모른다.더 이상 무능한 03이 찿아가서 알랑거리는 것들 믿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