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상위권 대학 출신일수록 취업 늦다
고학력, 상위권 대학 출신일수록 취업 늦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취업난이 계속 되면서 구직자들이 첫 번째 직장을 얻는 나이도 점차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이 늦었고 특히 상위원 대학의 취업연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 대표 이광석)가 지난 해부터 자사 사이트에 이력서를 등록한 경력 1~2년차의 직장인 11천명의 첫 입사 연령을 파악한 결과, 첫 번째 직장을 얻은 나이는 평균적으로 남성 27.6, 여성 25.4세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군복무를 치러야 하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늦게 사회에 진출하게 되는 것.

이러한 입사 연령은 최종학력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졸 이하가 25.7초대졸 25.4대졸 26.8석박사 이상은 29.5세가 되어야 첫 직장을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입사 연령도 함께 늘어나는 모습이다.

고졸 이하의 취업 연령이 높은 것은 실제 고졸 이하의 학력 보유자 외에도 일반대학 및 전문대 중퇴처럼 최종학력이 고졸인 직장인이 대거 포함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졸 직장인의 경우에는 출신학교가 어디냐에 따라서도 양상이 달랐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3개 상위권 대학 출신 구직자의 경우 취업 연령이 27.8세였는데, 그 밖의 서울권과 해외대학은 27.1, 지방권은 26.9세로 나타났다.

결국 서울권 대학 및 상위권 학교를 졸업한 구직자들이 지방대 출신보다 상대적으로 취업이 늦은 것이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상위권 대학 출신의 구직자일수록 취업의 눈높이를 낮추기가 쉽지 않고, 따라서 본인이 만족하는 직장을 얻기 위해 구직기간을 더 소요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공계열별로는 계열 특성상 여학생의 비율이 높은 가정학계열의 취업연령이 25.8세로 가장 낮았다.

그 뒤로는 어문학계열 26.4/체능계열 26.5사범계열 26.6인문과학계열 26.7사회과학계열 26.7자연과학계열 26.8상경계열 27.0/수산/해양계열 27.0/약학계열 27.2공학계열 27.5법학계열 27.7신학계열 30.5세 순이었다.

한편 첫 직장을 얻는 나이는 어떤 형태로 고용되느냐에 따라서도 달랐는데 정규직의 경우 27.2세로 나타나 비정규직 26.2세 보다 약 1세 높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