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 의원, “구내식당은 대기업·재벌 밥상?”
정태근 의원, “구내식당은 대기업·재벌 밥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부처 대기업에 구내식당 발주, 중소 급식업체 설 자리 잃어”

정부 부처 및 공공 기관 대부분이 대기업 캐터링 업체에 구내식당 운영을 맡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터링(단체급식)이란 산업체, 병원, 학교, 기숙사,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식사를 제공하는 급식시설을 일컫는다.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은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종합 청사 중 중앙·과천·대전·제주 청사, 국회사무처. 대검찰청, 국세청은 대기업 캐터링 업체에 구내식당을 발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반면 대법원과 공정위산하 소비자보호원은 중소급식전문업체가 대통령실·헌법재판소·감사원은 직접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정 의원은 지식경제부 산하 공공기관 60개를 조사한 결과 한국전력공사 및 발전자회사, 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 광물자원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코트라, 출연연구기관 등 24개 기관들(사업장 기준 105개 중 34)이 아워홈, 삼성에버랜드, 신세계푸드, CJ프레시웨이, 현대푸드시스템 등의 대기업 캐터링업체들과 구내식당을 계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 의원이 공개한 농립수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09년말 기준 캐터링(단체급식)의 시장규모는 28,334억원이고 관련 사업체수는 4,566, 종사자수는 36,178명 추산된다.

이에 정 의원은 이중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액을 살펴보면 2010년말 기준 삼성에버랜드 9,136억원, 아워홈 6,608억원, 신세계푸드 2,675억원으로 상위 10개 기업 매출액이 28,158억원이고 2009년도 총 25,521억원으로 전체 시장의 대부분을 10개 기업이 독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이들 기업의 경우 그룹사 구내식당부터 시작하여 공공기관, 대학, 병원, 초중고 등 비계열 타기업으로 사업영역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창업주 3세 등 친인척들이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기업 캐터링업체들의 경우 선진화된 경영기법을 캐터링사업에 적용하여 시장을 확대시키고 해외진출을 하는 등 급식시장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큰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급식시장의 특성상 신뢰도가 큰 대기업 브랜드가 선호되고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중소급식업체를 압도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공공부문 급식시장에서 중소급식업체가 들어오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월한 마케팅 능력과 협상력을 앞세운 대기업캐터링 업체가 공공부문 급식시장을 잠식하므로 인해 중소급식업체들이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기회조차 박탈되고 있다캐터링 사업은 오너 일가의 편법 증여의 수단으로도 악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지난 8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기존의 시장경제가 새로운 단계로 진화해야하고 탐욕경영에서 윤리경영으로 자본의 자유에서 자본의 책임으로, ‘부익부 빈익빈에서 상생 번영으로 진화하는 시장경제의 모델이 요구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발언에 정 의원은 현재 구내식당 입찰시 매출액, 자본금, 식수인원 등을 요구하고 있어 원천적으로 중소급식업체들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대기업 급식업체들이 우리나라 식품산업 발전에 대기업이 기여한바는 인정하나 최소한 공공부문에 대해서는 중소급식업체에 시장을 열어주어 상생번영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