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급변사태 발생시 남북한의 급진적 통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최대 365만에 이르는 북한주민이 남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4일 ‘통일 이후 노동시장 변화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통일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남북한의 사회적 안정이며, 특히 대규모 인구이동을 완화하고 흡수하지 못한다면 큰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급진적 통일에 따른 북한주민의 남하가 사회 불안정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으나, 이를 활용해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 인구부족을 메우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대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하하는 북한 인력의 대부분이 미숙련, 단순 노무직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남한 중소기업의 저숙련 근로자 인력난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11년 10월 기준 국내 체류 비전문 외국인력은 49만 7천명에 달하고 있는데, 이 일자리의 70%를 북한 근로자로 대체할 경우 약 47만명의 북한인력 채용이 가능하며, 부양가족 까지 포함할 경우 222만명에 달하는 북한 주민을 수용할 수 있다고 경총은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