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이 지난 30일 오전 당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의결한 새 정강·정책의 유연한 대북 정책 기조에 대해 ‘미쳤는가’라는 격한 표현까지 써가며 맹비난했다.
이날 전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성도 갈고 이름도 바꾸는 것, 그래 전권 잡았으니 다 좋다. 그런데 정강 정책에서 북한 인권과 개방 삭제한다? 진짜 미쳤는가?”라고 비난했다.
또한 “당명 개정도 이해 안되는데 북한동포 인권도 저버리는 당, 역사 앞에서 어찌 심판 받으려고요?”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북한 인권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은 자들이 어떻게 나라를 이끌어 갑니까?”라며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자유민주주의체제도 강령에 넣지 않고, 인권도 유연하게? 이번에 짝퉁 민주당을 넘어 짝퉁 민노당”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에게도 “한나라당이 이렇게 된 데는 박 위원장도 책임도 있다”며 “정당이 왜 존재하는가. 공익을 위해 존재하는데 사익을 위한 당이 돼 버려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한 트위터 이용자가 ‘친이(친이명박)만 밀어내면 한나라당을 고스란히 손에 넣어 대권을 차지할 수 있다는 나름의 전략으로 (박 위원장이) 이상돈, 김종인을 삼고초려로 (비대위원으로) 모신 게 아닌가 싶다’라고 던지자 “박 위원장 대통령후보 만들기에서 (비대위원들의 역할은) 끝날 것이다. 경선 없이 그냥 후보로 추대하는”이라고 비대위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했다.
한편 이날 오전 비대위가 의결한 새 정강·정책에서는 천안함, 연평도 사건 이후 현 정부의 강경 일변도 대북정책과의 차별화를 시도해 ‘국민합의를 바탕으로 원칙에 입각한 유연한 대북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다만 앞서 전 의원이 맹비난한 북한 인권과 개방의 개념은 알려진 바와 다르게 삭제되지 않고 ‘북한이 국제 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와 북한의 개방을 촉진하고’, ‘북한의 인권 개선과 동포애적 차원의 인도적 지원을 지속해 나간다’ 등의 표현으로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