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겸 사장의 불도저식 경영” 반기?
“김중겸 사장의 불도저식 경영” 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전, 자회사에 고액배당 요구 ‘논란’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의 대표 자회사와 발전 5사 등의 10개사 노조가 김중겸 한전 사장의 불도저식 경영 방식에 반기를 들었다. 이들은 지난 19일 성명서를 내고 “지속성장과 미래를 말살하는 한전의 과도한 배당 요구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한전이 1조5000억원(추정치) 규모의 자회사 당기순익을 일방적으로 가로채려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선 김 사장이 취임한 뒤로 무분별한 인사방식과 지나친 글로벌 사업 마인드로 인해 부담을 느낀 자회사 노조들이 본격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노조, 70% 배당은 공기업 평균 5배-상장사 평균 3배 “부당”
한전, “전기요금인상 막기 위해 수익 나는 자회사에 주주로서 요구”

지난 19일 한국수력원자력, 한전 KPS,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원자력연료, 한전산업개발, LGU+ 등 한전의 대표 자회사 노조들은 “자회사들의 미래를 말살하는 파렴치한 고액배당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같은 행보는 이번 달 말께로 예정돼 있는 자회사들의 정기주주총회에서 한전이 자회사들에 대한 70% 배당을 주요안건으로 통과시킨다는 계획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한전은 7500억원의 배당을 챙기게 된다.

주주배당
순식간에 ‘30%→70%’ 껑충

자회사 노조들은 “한전이 자회사로부터 2011년도 순이익의 70%를 배당금으로 몽땅 뺏어가려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2조 9937억원의 영업손실과 3조51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각각 기록했다.

이에 자회사 노조들은 “이러한 경영실패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자회사 직원들의 피땀 흘린 경영성과를 주주배당이라는 명목으로 가져가려 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공공성을 담보로 운영되는 공기업에서 순이익의 70%에 이르는 고배당은 절대로 용납될 수 없다”면서 “이는 최근 5년간(2006년~2010년) 정부투자기관 평균 배당성향의 5배가 넘는 수치며, 대한민국 상장사 평균 배당성향의 무려 3배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회사들은 “자신들의 경영실적을 만회하기 위해 자회사들의 성장과 미래를 말살하려 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하게 항의했다.

더불어 자회사들은 한전의 고액배당 요구는 자회사들의 의욕을 상실케 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하며 “한전은 단기 성과에만 집착해 국가 핵심 인프라인 전력산업의 근간이 되는 자회사들의 중장기 부실을 초래하는 과오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며 “이는 비단 한전과 자회사와의 관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국민경제에 크나큰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한전은 자회사로부터 20~30%가량을 배당받았으나 이번에 배당률을 2배 이상 올려 70%의 배당률을 요구한 것이다.

이는 김 사장이 한전의 흑자전환을 위해 단행한 것으로 한전이 갑작스런 그의 지시에 따라 자회사에 고액 배당을 요구한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지난 15일 김 사장은 ‘2012 사업계획 달성 결의대회’에서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한전이 올해는 흑자 전화의 원년으로 삼아야 한다”면서 “한전이 국민들로부터 인정받으려면 기필코 흑자를 달성해야한다”고 피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전기요금을 한전이 생산원가에 못 미치게 국민들에게 공급 하고 있는 것이다”면서 “이러한 구조는 매년 적자가 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한전이 4년 연속 적자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적자를 보지 않으려면 전기요금을 많이 올려야하는데 그렇게 되면 국민들에게 부담을 쥐어주게 된다”며 “전기요금인상을 막고자 자회사들에게 높은 배당을 요구하게 됐다”며 고액배당 요구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관계자는 “그동안 한전은 자회사에서 발전한 전기를 100원에 사서 국민들에게 90원에 팔고 있다. 당연히 적자가 누적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자회사는 수익이 난다”면서 “따라서 전기요금인상을 피하고 자회사에게도 그만큼 부담 하라는 취지이지 경영성과를 다 뺏어가겠다는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덧붙여 자회사 노조와 협의 없이 한전이 일방적인 배당금 인상률을 통보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관계자는 “주주로서 발전자회사에 요구한 것이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자회사 노조 관계자는 “대주주이기 때문에 법적으론 하자가 없다”면서 “하지만 30%에서 50%로 인상했을 당시에도 인상률이 높다 생각했는데 70%는 도리에 어긋난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이어 “한전으로부터 아직까지 어떤 대답도 듣지 못한 상태다. 이번에 성명서를 내면서 주장하는 것은 한전의 이런 행보가 일시적 현상이라고 생각하며 앞으로 합리적으로 일을 해결하기를 바란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중겸 사장 리더십 구설수
‘인사부터 들썩~’

한편 고액배당을 단행하고 있는 김 사장을 둘러싸고 끊이지 않는 악소문이 퍼지고 있다. 그 중 지난달 있었던 처·부장 인사와 관련, 좋지 않은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실제로 김 사장이 단행한 보직인사는 서열·직급을 파괴한 파격인사와 발탁 인사가 많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한전 인사를 보면 1직급(갑,을)이 처장 또는 본부장으로 승진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번에 이뤄진 인사는 △승진 없이 바로 처장을 맡은 경우 △직급을 뛰어넘는 보직을 준 경우 △지사장을 지낸 사람을 낮은 직급으로 발령을 낸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각 개인의 충분한 능력이 고려, 회사의 발전을 위해 이뤄졌으며 모든 인사에는 여러 소문이 일기 마련이다”고 반박했다.

이어 “김 사장은 평소 윤리 경영을 원칙으로 하는 사람이다”며 “회사에 도움이 되는 인사를 절차에 맞게 진행했다”고 김 사장의 무분별한 인사단행 의혹에 반론했다.

최수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