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철 9호선을 운영하는 민간업체인 ‘서울시 메트로9호선’이 일방적으로 “6월16일부터 요금을 1550원으로 인상하겠다”고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메트로9호선은 지난 14일 누리집과 9호선 각 역사에 붙인 공고문을 통해 ‘6월16일 영업 개시부터 9호선 기본운임(교통카드 일반기준)을 수도권 기본운임인 1050원에 9호선 별도운임 500원을 더해 155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메트로9호선 관계자는 15일 “민자철도인 9호선은 자율적으로 운임을 결정할 수 있다”며 “누적적자가 1,820억원에 이르러 정상적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공문에는 다른 노선에서 승차해 9호선으로 갈아타거나 하차하는 경우에도 환승·출구게이트에서 9호선 별도운임 500원을 징수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일방적 요금인상 추진을 중단하지 않으면 하루 최고 1,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반박했다. 서울시는 “9호선 요금의 최종 인상권한은 서울시에 있다”며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에 대해 회사측은 서울시가 약속을 어겼다며 반발하고 있다. 9호선주식회사 관계자는 “2009년 출범 때부터 요금을 1,500원은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오세훈 시장이 일단 다른 노선과 같은 요금으로 하고 추후에 올려주기로 했었다”며 “신분당선도 이미 1,750원을 받고 있는 만큼 9호선도 1550원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수송원가 1,288원보다 230원 밑도는 요금으로 계속 손해를 보면서 지난해 말 누적적자가 1,820억원에 이르는 등 자본잠식 상태라고 주장했다.
현재 신논현역에서 개화역까지 운행하는 9호선은 1~8호선과는 달리 민간투자사업(BOT) 방식으로 건설됐다. 1대 주주와 2대 주주는 로템과 맥쿼리한국인프라로 각각 지분의 25%, 24.5%를 가지고 있다. 총 3조4,580억원이 투입된 지하철 9호선 건설에는 5,631억원의 민자가 투자됐다.
최웅식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민주당)은 “전체 사업비의 6분의 1을 투자했다는 이유로 민간이 요금을 좌지우지하려는 것은 지나치게 민간에게 유리한 계약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래서 민간업자 차원에서 서울시에 별도의 요금 인상을 요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