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1총선 과정에서 박사학위논문 표절의혹이 제기된 새누리당 문대성 당선자(부산 사하갑)가 18일 표절의혹을 부인하며 “탈당하지 않고 국민대의 표절 여부 심사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말하면서, 문 당선자가 당 안팎의 탈당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하자 “표절했다는 사실이 분명한데도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버티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당 안팎에서 쏟아지고 있다.
당초 문 당선자는 탈당에 대한 기자회견을 갖을 것으로 알려졌고, 기자회견문도 작성해 둔 상태였는데, 돌연 사퇴를 번복하여 입장을 원점으로 돌려놓은 상태다.
문 당선자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국민대의 결론을 지켜본 뒤 당의 입장을 정하겠다'는 요지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발언을 언급한 뒤 “저도 국민대의 입장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문 당선자는 '탈당을 안 하는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도 “당연하다”며 “제가 당과 박 위원장에 반하는 행동을 해서 되겠는가”라고 답해 당에서 뭔가의 언질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새누리당은 이날 밤 지도부 긴급 회동 끝에 문 당선자에게 사실상 탈당을 요구했다. 이상일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본인이 스스로 탈당의사를 전해 와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탈당 않겠다고 해 혼선을 빚었다”며 “문 당선자 처신과 관련된 문제를 당 윤리위로 넘겨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이 대변인은 “문 당선자는 박 위원장을 팔지 말고 스스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19일 당 윤리위를 개최키로 했다.
‘정세균 때리기’는 당내 의견교환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문 당선자에 앞서 이날 오전 이대변인도 기자들이 문 당선자의 거취 문제에 대해 질문하자 “정세균 의원 것과 비교해 보라. 정 의원은 대선후보 나갈 사람이고 당 대표를 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을 끌어들여 문 당선자 파문을 희석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과정과 결과가 어디로 튈지 모르지만 지금까지의 과정으로 봐서 정세균 의원과 비교, ‘물타기 전략’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수순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