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중부발전(주) 소속 서울화력발전소(이하 당인리발전소) 지하건설을 두고 주민들의 반발이 다시 거세지고 있다.
4월 21일 당인리발전소 정문에서는 박강수 서울복합발전소 신규건설 반대추진위원회장을 비롯해 김태완 19대 통합진보당 마포을 국회의원 후보자와 송병길 새누리당 구의원 등 내·외부 인사 300여명이 참석,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의 지난 3월 15일자 신규 지하발전소건설 인가 결정을 규탄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서울복합발전소 신규 지하건설에 대해 주민투표로 결정하자고 주장하며, 박홍섭 마포구청장의 주민소환제 실시도 결의했다.
박강수 반대추진위원회장은 “당인리발전소의 지하건설 여부는 당연히 지역주민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주민투표가 성사돼야 한다”며 “또 마포구는 당인리발전소에 형식적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주민의 생존권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무능력을 보여 왔다. 이에 박 구청장의 주민소환제 실시를 결의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당인리발전소 인근 주민들이 이처럼 지하건설에 강력히 반대하는 이유는 최근 전기, 가스 관련 국가기반시설의 빈번한 대형사고도 한몫하고 있다. 고리원자력발전소의 정전, 보령화력발전소의 화재, 난지물재생센터의 가스폭발 등의 사건이 발생하면서 주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주민 김모(54·여)씨는 “마포 지역의 일부 지도층 인사와 관변단체들이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발전소 지하건설에 찬성하고 있다. 이들은 80년 동안 국내 최대민원으로 꼽히는 당인리 발전소 지하건설 반대를 외면하고 있다”며 “지하건설에 찬성하는 일부 인사들은 왜 주민들의 절규에 소리를 듣지 않으려 하는 지 궁금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주민들은 또 절두산 성지 문화재 보호를 위해서도 발전소의 지하건설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문화재로부터 500m이상이라도 문화재 보호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개발을 불허 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이에 박 위원회장은 “서울 시내 한복판에 가스충전소 하나도 설치 할 수 없음이 현실이다”며 “그런데 가스충전소의 1,000배의 공간에 해당하는 발전소를 지하에 건설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안전불감증 행위이며 시민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실험적 행위다”라고 발전소 지하건설을 강력히 비판했다.
이와 함께 ‘지하에 발전소를 건설하고 지상에 공원을 조성한다는 당인리발전소측의 주장은 허울 좋은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이 주민들의 생각이다.
박 위원회장은 “34기압의 가스시설로 설비되는 발전소에 어떻게 주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공원은 조성 테마에 따라 그 목적이 조금씩 다를 수는 있지만 공원의 진실한 목적은 시민이 자유롭게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지하에 발전소를 건설하고 지상에 녹지를 조성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그 조성 목적이 공원이 아니라 금싸라기 땅에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것”이라는 주장인 것이다.
한편 지역주민들은 서울시에 대한 원망의 눈초리도 보내고 있다. 지역주민 최모(47·남)씨는 “당인리발전소가 있는 마포을 지역구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시장에게 관악을 다음으로 높은 지지를 보내줬다. 그러나 박 시장이 우리에게 선물한 것은 청천벽력과 같은 지하발전소건설”이라며 “같은 합정전략지구내에 속해 있는 당인리발전소 인근주민들에게는 건물 신축을 불허하면서 왜 발전소 지하건설은 인가 해주는 것이 옳다는 것인지 그 이유를 분명히 밝혀 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