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활 악취 심한 1,933개소 집중 관리계획
서울시, 생활 악취 심한 1,933개소 집중 관리계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시 곳곳에 퍼져있는 악취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서울시 생활환경과는 최근 4년간 서울에서 생활 악취로 발생하는 민원은 총 1.646건으로 이중 악취방지법상 시설규모 미만의 비규제 대상인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생활악취’가 89%(1,472건)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한다는 통계결과를 발표했다.

대부분 악취 민원 발생지인 소규모 영세사업장은 서울시가 지도점검 및 감시활동을 강화하는 등 생활악취 저감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악취 방지시설이 없어 단순한 현장 지도에 그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소규모 상공인 밀집지역을 포함한 악취가 많이 나는 12개 자치구 1,933개소를 선정, 악취 민원이 발생하는 5~9월 중 특별 관리 발표하여 금년 상반기 중 전국 최초로 ‘악취 이동 포집차량’을 보건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해 악취 민원이 증가하는 7월부터 접수 즉시 현장에 출동시킬 계획이다.

연구관계자는 “‘악취 이동 포집차량’은 민원 신고 시 신속히 출동해 악취를 포집할 수 있으며 악취의 특성상 일시적인 발생 후 공기중에 희석되거나 없어지는 문제점을 보완, 또 단속공무원이 현장에 없어도 민원 발생 지역에 장시간 대기하면서 실시간 악취포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자발적인 악취저감 노력도 유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렇게 포집된 악취물질을 즉시 보건환경연구원으로 이동, 검사결과에 따라 악취 방지법에 의한 행정조치 또는 배출시설의 개선을 권고 하는 등 악취 배출원을 집중 관리 할 계획이며 또한 소규모 사업장에 설치 의무가 없음을 감안해 악취 방지시설을 500만원 이내로 정하고 향후 정부와 협의해 보급 혹산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미 작년 6월부터 악취관리 48개소에 올해 2개소를 추가, 총 50개소로 대상을 확대해 지속 관리에 나선다.

생활환경 관계자는 “공공관리 부분에서 강화하고 있는 학취저감 기준을 올해부터는 생활 속 밀착 현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특히 소규모의 음식점 등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저비용·보급형 악취 저감시설을 개발해 악취 없는 쾌적한 서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