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5일부터 다음달 15일 까지 전국 2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소득, 자산, 부채, 지출, 경제활동 등 가구의 경제적 생활수준과 변화요인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다양한 통계 산출이 가능하다.
또 최근 가계부채 증가로 주목받고 있는 가계 재무건전성에 대해 미시적으로 진단하고 아울러 지속 확대되고 있는 복지정책들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가 산출 된다.
각 가계의 세부특설별 재무건전성 평가, 대출상황의 조사와 소득수준이나 자산규모, 경제활동상태 등 가구별 특성에 따라 가계부채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미시적으로 분석하면 국민경제 여건에 대해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처방하여 적절히 처방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2008금융위기 이후 이와 같은 조사를 실시했으며 현재 집계 및 분석 진행 단계 중에 있다.
한편 금년 조사에서는 최근 유형과 예산 규모가 지속, 확대되고 있는 복지정책들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복지수요를 발굴할 수 있는 통계도 산출할 예정이다.
또한 소득과 자산의 통합분배 통계가 산출되어, 소득만을 기준으로 분배나 빈곤상태를 측정하던 기존 통계를 보완, 이밖에 빈곤지속기간, 계층이동과 그 요인 무직 지속기간 등의 추정과 아울러 재분배 정책별 효과의 분석이 가능한 패널 통계도 가능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예금통장, 대출계약서 등을 보아야 답변 가능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으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의 토대가 될 자료이니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 드린다”며 “조사표에 기입되는 주소, 성명, 전화번호 등은 조사과정에서 조사대상과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집계 시 개인자료는 모두 삭제되며, 조사된 내용은 통계법에 의해 비밀이 엄격하게 보장 된다”고 재차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