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민간인 사찰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공직지원윤리관실에서 사용했던 휴대전화는 KT사장이 직접 만들어준 불법 대포폰’이라고 밝혔다.
검찰이 민간인 사찰사건을 수사하던 2010년 7월 7일, 당시 공직윤리지원관실(총리실 산하) 장진수 주무관은 최종석(42·구속)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으로부터 건네받은 '대포폰(차명전화)'을 들고 경기 수원 영통구의 IT업체를 찾아가 지원관실의 불법 사찰자료가 담긴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파괴했다.
7월 7일은 검찰이 총리실의 수사 의뢰로 수사에 착수한 지 이틀이 지난 시점이고, 총리실을 압수수색하기 이틀 전이었다. 당시 수사팀은 이런 일이 벌어진 지 1개월쯤 지난 그해 8월 초에야 대포폰의 존재를 알게 돼 최 행정관을 조사했으나 그가 “장씨에게 빌려줬을 뿐”이라고 버티면서 진상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사건을 재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문제의 대포폰은 서유열(56) KT사장이 이영호(48·구속)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의 부탁으로 개설해줬다’는 관련자 진술과 물증을 확보한 것으로 13일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의 부탁을 받은 서 사장은 2010년 7월 7일 오전 KT 대리점 사장의 자녀 명의로 대포폰을 만들어 줬다. 이 대포폰은 고용노사비서관실 여직원이 지점에 가서 찾아왔다. 최 행정관은 이날 오후 장진수씨에게 대포폰을 주면서 수원의 IT업체로 가서 하드디스크를 파괴하도록 했다. 대포폰은 이 같은 증거인멸 사실이 들통나지 않도록 최 행정관이 장씨에게 준것이다. 최 행정관은 ‘하드디스크 파괴’라는 목적을 달성한 뒤인 2010년 8월 초 서 사장에게 전화를 걸어 “청와대입니다”라면서 대포폰 해지를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최근 이 전 비서관과 최 행정관, 서 사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