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등으로 잎집무늬마름병, 흰등멸구 발생량 많아져

최근 고온이 지속되어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었으며 7월 상중순에 중국에서 날아온 흰등멸구의 세대가 단축되어 밀도가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이와 같은 고온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어 벼멸구, 혹명나방, 이화명나방의 발생밀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강우나 태풍 발생 시에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방제적기인 8월 15일∼31일 사이에 반드시 병해충 예방을 겸한 방제를 실시하고 잎집무늬마름병과 흰등멸구의 발생이 많은 포장은 서둘러 방제를 실시할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고품질쌀 생산을 위해서는 적기병해충 방제와 적절한 물관리로 뿌리활력과 등숙을 촉진시켜야 한다”고 당부했으며 병해충 예찰을 강화하고 안내문을 배포하는 한편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