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파업 기간 중 직원 동의 없이 불법 내부사찰 감행
MBC, 파업 기간 중 직원 동의 없이 불법 내부사찰 감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안 프로그램 가장하여 해킹 프로그램 자동 설치, 검찰에 조속한 수사 촉구

24일 오전 10시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MBC) 노조는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MBC불법감청 불법사찰 진상조사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해킹방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원들의 이메일과 메신저 등을 사찰했다"고 주장했다.

MBC 노조는 "사측이 직원들을 사찰하려는 목적으로 직원 공용 컴퓨터는 물론 개인 컴퓨터에도 해킹방지 프로그램 '트로이컷(trojancut)'을 설치해 컴퓨터로 송수신한 파일 내역과 이메일 전송 내역, 채팅 내역 등을 회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했다"면서 "트로이컷 프로그램은 내부자료 유출 감사, 이메일 메신저 제어, 매체 제어 등의 기능이 있고, 이를 통해 내부에서 보내는 파일이 회사 서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파업이 진행되던 지난 5월20일 무렵에 직원들의 사전 동의 없이 무단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한 것으로 명백한 사생활 침해이다.

덧붙여 "이 프로그램은 회사에서 내부망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으로 설치됐다"며 "보안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설치된 뒤 컴퓨터 우측 하단에서 구동 여부가 표시되지만 해당 프로그램은 그런 표시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게다가 "답장기능으로 받은 이메일을 통해 직원들과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대화한 사람들에 대한 정보도 회사 서버로 넘어갔다"면서 이런 과정을 통해 방송 출연자들의 정보가 회사로 넘어간 점을 우려했다. "이는 심각한 사생활 침해이자 인권 침해로 정치사찰의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라며 실제 피해사례도 일부 공개했다.
 
이용마 MBC노조 홍보국장은 "사측은 해킹 방지를 위해 트로이컷을 설치했다고 해명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해킹 방지가 목적이라면 외부로 보내는 자료를 검색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전산망에 침입하는 프로그램을 감시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 국장은 "노조가 검찰에 이번 불법사찰을 고소하자 사측은 해당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삭제해 버렸고 지금 남아있는 사측의 수집자료 보관 서버도 어떤 상태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며 검찰의 조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 전에 MBC 노조는 지난 3일 이 같은 내용으로 불법사찰 의혹을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6일에 김재철 사장 등 6명을 검찰에 고소했다.

24일 오전 10시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MBC) 노조는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MBC불법감청 불법사찰 진상조사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해킹방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원들의 이메일과 메신저 등을 사찰했다"고 주장했다.

MBC 노조는 "사측이 직원들을 사찰하려는 목적으로 직원 공용 컴퓨터는 물론 개인 컴퓨터에도 해킹방지 프로그램 '트로이컷(trojancut)'을 설치해 컴퓨터로 송수신한 파일 내역과 이메일 전송 내역, 채팅 내역 등을 회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했다"면서 "트로이컷 프로그램은 내부자료 유출 감사, 이메일 메신저 제어, 매체 제어 등의 기능이 있고, 이를 통해 내부에서 보내는 파일이 회사 서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파업이 진행되던 지난 5월20일 무렵에 직원들의 사전 동의 없이 무단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 프로그램은 회사에서 내부망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으로 설치됐다"며 "보안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설치된 뒤 컴퓨터 우측 하단에서 구동 여부가 표시되지만 해당 프로그램은 그런 표시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게다가 "답장기능으로 받은 이메일을 통해 직원들과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대화한 사람들에 대한 정보도 회사 서버로 넘어갔다"면서 이런 과정을 통해 방송 출연자들의 정보가 회사로 넘어간 점을 우려했다. "이는 심각한 사생활 침해이자 인권 침해로 정치사찰의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라며 실제 피해사례도 일부 공개했다.
 
이용마 MBC노조 홍보국장은 "사측은 해킹 방지를 위해 트로이컷을 설치했다고 해명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해킹 방지가 목적이라면 외부로 보내는 자료를 검색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전산망에 침입하는 프로그램을 감시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 국장은 "노조가 검찰에 이번 불법사찰을 고소하자 사측은 해당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삭제해 버렸고 지금 남아있는 사측의 수집자료 보관 서버도 어떤 상태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며 검찰의 조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 전에 MBC 노조는 지난 3일 이 같은 내용으로 불법사찰 의혹을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6일에 김재철 사장 등 6명을 검찰에 고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