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 경찰청에서 열린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이 경찰의 총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을 주문했다.
먼저 경찰이 나서서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를 철저히 뒷조사하는 등 검증하는 과정에서 불법이 시행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국감 현장에 파문이 일었다.
얼마 전 안 후보는 1988년 사당동 철거지역의 '딱지아파트'를 매입했던 사실과 1996년 세금 체납으로 인해 구청으로부터 압류를 당했던 사실이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져 곤란을 겪은 바 있다.
진선미 민주통합당 의원은 국감에서 김성근 경찰교육원장(당시 서울경찰청 정보관리부장)이 일부 언론사 기자와 통화한 녹음 육성을 공개하며 “안철수 원장의 사생활을 추적한 것 같은데 맞느냐”며 경찰에게 따져 물었다.
김 원장은 “전체적인 맥락을 들어보면 그게 아닌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바쁜 시간에 전화가 와 빨리 끊어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우리가 파악한 게 없다는 취지를 강조해서 이야기하다 보니 좀 오버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또 “우리는 따로 조사한 것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자 진 의원은 김 청장을 상대로 “본인은 부인하시겠지만 우리는 다들 안철수 관련 뒷조사를 했다고 보고 있다”고 추궁했다. 하지만 김 청장은 “해당 직원들을 조사해보니 본인들이 전면 부인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유대운 민주통합당 의원은 “대선후보를 검증하면서 불법이 난무하고 있다”며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의 검증과정에서 1988년 이후 주소지 8곳의 내역과 20여년 전 아파트 거래상황 세금체납 내역은 제3자가 획득하기 어려운 정보”라고 불법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제3자에 의한 위임장 위조 의혹과 공무원의 정보유출 의혹이 있다”며 “경찰이 이 부분에 대해 내사에 착수한 것이 있느냐”고 물었다.
김기용 경찰청장은 “구체적인 단서 없이 착수하기는 어렵지만 단서가 나오면 내사를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