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귀국 "국민에게 죄송" 검찰청사로 직행
김우중 전 대우그룹회장(69)이 해외도피 5년8개월만에 14일 아침 귀국했다.
김 전 회장은 14일 오전 5시24분 하노이발 아시아나항공 OZ734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대우 사태가 발발하자 1999년 10월 중국으로 출국했다가 종적을 감춘 뒤 해외에 체류했던 김 전회장이 도피 5년8개월만에 공식적으로 언론앞에 몸을 드러낸 것은 비행기 출발 이륙 20분전인 오전 1시10분(한국시간) 하노이 공항이었다.
베트남 경찰 호위차의 선도를 받은 2대의 검정색 고급 승용차 가운데 첫번째 차에 탄 김 전회장은 일반통관구역을 통과하지 않고 별도통로로 곧장 항공기에 올랐다. 이같은 대우는 베트남 예우상 '총리급'으로 알려졌다. 일행은 김 전회장 외에도 주치의인 소의영 아주대 의대 교수와 법률대리인인 김&장 소속 조준형 변호사 및 개인비서, 전 대우관계자 등 모두 5명이었다.
4시간여의 비행끝에 긴 전회장이 인천공항에 도착한 것은 공항 전광판으로 14일 오전 5시24분. 공항은 이른 시각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귀국을 기다리는 2백여명의 취재진과, 그를 규탄하는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시위대, 그리고 그를 맞이하러 나온 20여명의 대우 전임원들이 엉켜 북새통을 이뤘다. 간단한 절차를 마치고 공항 로비에 나타난 그를 취재하기 위해 카메라맨과 규탄 시위대 등이 몰려들면서 순식간에 포토라인이 깨지면서 로비는 고성과 욕설이 오가는 아수라장이 됐다. 특히 대우차 정리해고 원상위원 투쟁위원회, 인천노동자회, 민주노동당, 사회당원 등으로 구성된 규탄시위대는 "김우중을 철장속으로" "김우중 사면에 반대한다"고 외치며, 김우중에 대한 엄중처벌을 요구했다.
김 전 회장은 공항현장에서 배포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사죄의 글'을 통해 대우사태에 대해 거듭 사과한 뒤 "예기치 못한 IMF 사태를 맞아 그 격랑을 헤쳐 나가지 못하고 국가경제에 부담을 드린 것은 전적으로 제 자신의 잘못인 만큼 그 결과에 대한 사법당국의 조치를 달게 받겠다"고 밝히고. 조재연 대검 연구관 등 검사와 수사관에 체포돼 어렵게 경찰 호송차에 오를 수 있었다. 체포된 김 전회장이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에 도착한 것은 이날 오전 6시50분. 대검에 도착한 김 전 회장은 대기 중이던 취재진을 향해 잠시 포토라인에 선 뒤 취재진 질문에 "자세한 내용은 검찰에서 밝히겠다. 이번 일을 전적으로 책임지겠다"고 짧게 대답한 뒤 수사관들에 의해 대검 11층 조사실 로 직행했다.
한편 대검 중수부는 김 전회장 귀국에 따라 법원에 체포영장을 요청해 구속하는 한편, 그와 관련된 각종 의혹을 파헤친다는 계획이다.
중수부는 우선 김 전회장 해외망명 경위와 그동안 도피행적을 파헤칠 예정이다. 특히 김 전회장이 그동안 <포천>지를 비롯한 여러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대중 정부가 나의 귀국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한 대목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중수부는 이어 김 전회장의 분식회계와 해외도피, 비자금 조성 등 경제범죄 행위도 파헤친다는 계획이다. 특히 2002년 행해진 대우그룹 비자금 사건 기록을 재검토하며, 김우중이 대우 퇴출을 막기 위해 전방위로 진행한 로비 실태를 파헤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특가법상 뇌물액수가 5천만원을 넘을 경우 공소시효가 10년인 까닭에 검찰 수사로 사법처리되는 정치인이나 관료, 금융인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