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번 주로 예상됐던 국정원장 후임 지명발표가 늦어지고 있다.
그간 권진호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이 내정되는 분위기였지만 현재는 불투명한 상태.
따라서 6월 임시국회에서 청문회를 마치고 정식 임명까지 마칠 예정이었던 청와대의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지난주 인사추천회의 때 후보를 놓고 추천여부를 검토하였으나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며 “기존 후보 3명에 한정되지 않고 폭 넓게 사람을 찾아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거론됐던 권진호 보좌관,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윤영관 전 외교부장관 등 이외에 또 다른 후보자를 물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오는 17일 인사추천회의를 다시 열고 후보자 3명 이외의 다른 후보들을 검토하겠지만 확정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청와대가 인선작업에 난항을 격고 있는 이유는 국회 청문회 때문이다.
이는 노무현 대통령 집권 후반기의 국정원장 역할에 대해 여야의 주문이 많을 뿐 아니라 4·30 재·보선으로 여당의 과반수 의석구도가 붕괴된 상황에서 청문회가 정국주도권을 둘러싼 여야간 정쟁의 장이 될 가능성도 배제될 수 없는 부분이다.
또한 노 대통령의 외교 성향을 맞춰야할 인물이 인선되어야 하지 않겠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는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및 한.미 동맹에 관련, 각 성향에 따라 외교안보의 전반적인 정책기조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장고를 거듭하고 있는 국정원장 인선시기에 대해 한 관계자는 “굳이 6월 임시국회에 맞추려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해 앞으로 인선에는 어느 정도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