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박급사’ 논란 김광진, 문재인 후보 캠프서 하차
‘명박급사’ 논란 김광진, 문재인 후보 캠프서 하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막말 파문이 대선 국면에서 악재로 작용할 수도

‘명박 급사’ 논란에 섰던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이 문재인 대선 후보 캠프 내 모든 직책에서 사퇴했다. 김 의원은 지난 26일 과거 트위터에 ‘명박 급사(急死)’라는 내용의 글을 리트윗해 올려 논란이 됐다. 이에 대해 그는 “풍자였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자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문 후보 캠프내 모든 직책에서 사퇴한 것이다.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이 올해 초 현직 대통령의 ‘급사’(急死)를 언급한 글을 리트윗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김광진, ‘명박급사’ 논란에 “풍자였다”

비례대표 초선인 김 의원은 지난 1월22일 자신의 트위터에 “새해 소원은 뭔가요, 명박 급사”라는 글을 리트윗했다. 그러면서 “꼭 동의해서 ‘알티’하는 건 아니지 않다는 확신을 저는 가지고 있는 것”이라는 ‘이중부정’의 문구도 덧붙였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6월1일에는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남북간 비밀접촉과 관련, ‘北 비밀접촉’ 이례적 공개… 파장 일듯’이란 기사를 리트윗하면서 “언젠가부터 북한이 더 믿음이 가”라는 글을 올렸다.
지난해 10월3일에는 당시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였던 나경원 전 의원와 관련, “나경원의 취미가 ‘아이와 놀아주기’래”라는 글을 리트윗하면서 “알몸으로 벗겨놓고…”라고 적은 글도 논란의 대상이 됐다.
김 의원은 최근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6.25에 참전했던 백선엽 장군을 ‘민족의 반역자’로 언급해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발을 샀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풍자였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자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 내 모든 직책에서 사퇴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그간 문 후보 캠프 청년특보실장과 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왔다.
지난 4.11 총선에서 청년 비례대표로 당선된 김 의원은 “용어 자체가 온당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정도의 풍자로 문제를 삼는다면 트위터에 공개사항, 논평 밖에 못 올린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문제가 되는 트위터 글을 보면 2010~2011년 글이다. 국회의원이 되기 전에 단지 국민으로서 올렸던 글을 책임을 지라고 하면…”라며 “지금 보수층에게 일거수일투족 공격을 받고 있다”고 다소 억울하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 “만약 의원이 된 이후에 이런 내용의 트윗을 올렸다면 전적으로 내 잘못이다”라며 “하지만 글도 내가 직접 쓴 게 아니고 이 대통령을 척결하겠다는 의도도 아닌데 그 정도 풍자도 용인 못 해주나"라고 말했다.
사과나 해명할 뜻이 없냐는 질문에 “사과가 꼭 필요하다면 할 수는 있다”면서도 “하지만 과연 이게 맞을까”라고 했다. 대선에 악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해 사과를 고려하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사과할 뜻이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통합당, ‘김용민 막말’ 파문 재연 우려

앞서 일부 언론에 따르면 김 의원은 지난 1월 22일 자신의 트위터에 ‘새해 소원은 뭔가요?’라고 묻는 질문에 ‘명박 급사’라고 답한 글을 리트윗했다.
그러면서 “꼭 동의해서 RT(리트윗)하는 건 아니라는 확신을 저는 가지고 있다”고 적었다. 결국 이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사망을 원한다는 의미다.
이 같은 김 의원의 언행에 대해 민주당은 김 의원의 ‘막말 리트윗’ 논란에 대해 공식적 반응은 자제했지만 곤혹스러워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일각에서는 4ㆍ11 총선 당시 ‘김용민 막말’ 파문이 재연되면서 대선 국면에서 악재로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한 재선 의원은 “의원이 되기 전에 한 말이긴 하지만 부적절한 표현이어서 빌미를 준 측면이 있다”며 “대선 국면에서는 작은 실수라도 저지르면 안 된다. 당에 도움이 안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 측은 “부적절한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진성준 대변인은 이날 영등포 민주당사에서 가진 현안브리핑에서 “김 의원이 공인이 되기 전에 있었던 일로 안다”면서도 “김 의원 본인이 적절하게 조치를 취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와 관련 선대위 관계자는 “아무리 젊어도 국회의원은 헌법기관”이라며 “본인이 어떤 식으로든 논란을 잠재워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새누리, 김광진 발언에 “문재인 사과하라”

새누리당은 지난 10월 22일 김 의원이 6·25 전쟁 당시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백선엽 장군을 ‘민족반역자’로 언급한 것과 관련,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의 사과와 입장 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철우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김 의원의 망언은 북한에 서해 바다를 통째로 넘겨주겠다는 의미인 NLL 포기발언으로 우리 군의 사기를 꺾은 데 이어 군 사기 무력화의 연장선”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변인은 “문 후보는 이것(김 의원의 발언)이 민주당의 당론이고 군 통수권자가 되겠다는 문 후보의 생각인지 밝혀야 한다”며 “아니라면 문 후보가 국민과 오늘도 국토방위에 여념이 없는 군(軍)에 대해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망언을 한 김 의원에게는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후속대책이 없다면 국민들은 김 의원의 생각이 민주당의 당론이고 문 후보의 생각으로 규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 역시 “민주통합당에 막말 오걸이 있다고 한다”며 “탈북자에게 막말했던 임수경 의원, (박근혜 대선 후보를) ‘그년’이라고 불렀던 이종걸 의원, 지방대 비하 발언을 한 신경민 의원, 도둑촬영을 하고도 뻔뻔하게 사물을 찍었다는 배재정 의원, 6·25 영웅을 민족 반역자로 몰았던 김광진 의원은 문재인 후보의 수준을 그대로 드러내는 대표적 인사”라고 주장했다.
전광삼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은 서면 논평을 통해 “민주통합당이 김 의원을 앞세워 6·25 전쟁 영웅인 백 장군을 민족배신자로 몰아가는 것이라면 스스로 ‘종북 정당’임을 시인하는 자해행위가 될 것”이라며 “김 의원이 제 정신을 가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면, 민주통합당이 ‘종북 정당’이 아니라면 김 의원은 백 장군에게 즉각 사과하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지난 19일 국방부 국정감사를 통해 백 장군과 관련한 뮤지컬 예산을 질의하는 과정에서 “민족의 반역자인 백선엽 장군의 뮤지컬 제작에 세금을 지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언급해 새누리당 소속 위원들이 반발하는 등 논란이 제기됐다.

시민단체, ‘막말 논란’ 김광진 의원 검찰고발

한편 시민단체 활빈단은 지난 10월 31일 ‘막말’ 논란에 휩싸인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서울남부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한 활빈단 홍정식 대표는 “김 의원은 국가 원수인 이명박 대통령에게 ‘명박 급사’라는 표현을 쓰고 6·25 영웅 백선엽 장군을 친일파로 매도하는가 하면 북한이 더 믿음이 간다는 망발을 했다”며 “이런 국회의원은 엄정히 사법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대학생총연합도 이날 성명을 내고 “김 의원의 즉각적인 사퇴와 민주통합당의 즉각적인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남북대학생총연합은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신 민족의 어버이들을 패륜적인 막말로 모욕하고 북한을 대한민국보다 더 믿는다는 부패한 정신의 소유자가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면 대한민국은 더 이상 미래가 없다”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새해 소원은 명박 급사’, ‘다음에 술먹을 때 채찍과 수갑 꼭 챙겨오길. 간호사복하고 교복도’, ‘언젠가부터 북한이 더 믿음이 가’ 등 과거 사이버 공간에 남겼던 글로 논란을 빚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