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권에서는 이번 지도부 총사퇴가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간의 교착상태에 빠진 단일화 협상의 물꼬를 다시 트기 위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안 후보측이 문 후보측의 조직동원 등을 이유로 경선 룰 협상을 중단한 상태에서 국면 전환이 절실했기에 이번 지도부 총사퇴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에 대한 사퇴압박은 지난 6·9 전당대회부터 시작됐는데, 당시 ‘이해찬 대표-박지원 원내대표’ 체제는 非盧(비노무현)와 反盧(반노무현) 진영의 거센 반발을 산 바 있다.
그리고 이번 당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과정에서 이 대표에 대한 불만은 극에 달했는데, 문 후보의 최대 승부처로 꼽혔던 제주 경선에서 예상을 깨고 손쉬운 승리를 거두자 非文(비문재인) 주자들이 당 지도부의 불공정한 경선관리를 일제히 문제 삼은 것이다.
이 대표가 문 후보에게 유리한 경선 룰을 만들어 편파적인 경선 운영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던 것인데, 논란을 겨우 잠재우고 문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자 이번에는 이 대표가 인적 쇄신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정치불신이 만연한 상황에서 ‘정치쇄신의 아이콘’으로 등장한 안철수 후보에게 정치개혁 의지로 화답하는 과정에서 인적 쇄신의 희생양으로 이 대표가 낙점되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이 대표만 사퇴하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지도부 모두 연대책임을 지고 총사퇴를 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났는데 이와 관련 한 최고위원은 “사퇴를 하게 된다면 결국 총사퇴를 하는 방향쪽으로 해야 한다는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지원 원내대표는 현재 정기국회 회기 중임을 감안, 정기국회가 끝날 때까지 직을 유지하기로 한 것으로 밝혀졌다.
봉윤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