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이해찬 체제, ‘162일’만에 막내리다
민주통합당 이해찬 체제, ‘162일’만에 막내리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대표실에서 사퇴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이해찬 민주통합당 대표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전원이 지난 18일 정권교체와 단일화를 위해 전격적으로 총사퇴를 결의했다. 이는 이해찬 대표가 민주통합당에 취임한 후 162일만에 당권을 내려놓는 것으로 이번 지도부 총사퇴 결의로 인해 이 대표 체제는 막을 내리게 됐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지도부 총사퇴가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간의 교착상태에 빠진 단일화 협상의 물꼬를 다시 트기 위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안 후보측이 문 후보측의 조직동원 등을 이유로 경선 룰 협상을 중단한 상태에서 국면 전환이 절실했기에 이번 지도부 총사퇴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에 대한 사퇴압박은 지난 6·9 전당대회부터 시작됐는데, 당시 ‘이해찬 대표-박지원 원내대표’ 체제는 非盧(비노무현)와 反盧(반노무현) 진영의 거센 반발을 산 바 있다.

그리고 이번 당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과정에서 이 대표에 대한 불만은 극에 달했는데, 문 후보의 최대 승부처로 꼽혔던 제주 경선에서 예상을 깨고 손쉬운 승리를 거두자 非文(비문재인) 주자들이 당 지도부의 불공정한 경선관리를 일제히 문제 삼은 것이다.

이 대표가 문 후보에게 유리한 경선 룰을 만들어 편파적인 경선 운영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던 것인데, 논란을 겨우 잠재우고 문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자 이번에는 이 대표가 인적 쇄신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정치불신이 만연한 상황에서 ‘정치쇄신의 아이콘’으로 등장한 안철수 후보에게 정치개혁 의지로 화답하는 과정에서 인적 쇄신의 희생양으로 이 대표가 낙점되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이 대표만 사퇴하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지도부 모두 연대책임을 지고 총사퇴를 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났는데 이와 관련 한 최고위원은 “사퇴를 하게 된다면 결국 총사퇴를 하는 방향쪽으로 해야 한다는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지원 원내대표는 현재 정기국회 회기 중임을 감안, 정기국회가 끝날 때까지 직을 유지하기로 한 것으로 밝혀졌다.

봉윤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