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래 회장이 조카 명의로 산 땅주인은?
조석래 회장이 조카 명의로 산 땅주인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석래 회장 `토지 분쟁` 승소…조카사위 명의 땅 돌려받는다

부동산 투기, 탈세, 탈법행위 등 반사회적 행위를 방지하고, 부동산가격 안정 도모와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 기여를 위해 대법원은 부동산실명법 예규를 마련했다. 부동산 실명제법 위반은 명의 신탁의 경우 시가의 20%선 이하의 범위 내에서 벌금형이 선고되고 있는 가운데,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과 조카사위 이모(69)씨가 부동산 소유권을 놓고 법정 공방을 벌여 이목을 집중시켰었다.

 

차명 부동산을 둘러싸고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77)과 조 회장의 조카사위가 벌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조 회장의 손을 들어줬다. 대법원 1(주심 양창수 대법관)는 조 회장이 조카사위 이모씨(69)를 상대로 낸 소유권 이전등기 소송에서 이씨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조 회장의 승소 취지로 파기환송 판결을 내렸다. 그리고 이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1989년 조 회장은 이씨 명의로 경기도 이천시 소재 임야 2필지(72860)7700만원에 구입했다. 이씨는 2004년까지 이 임야에 대한 토지세 납부고지서가 배달될 때마다 조 회장에게 전달하며 납부하도록 했고, 조 회장은 이씨가 해당 임야를 대신 소유한 탓에 추가로 납부하게 된 종합토지세 등도 정산해줬다.

그런데 1995년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부동산실명법에 따르면 199671일까지 차명 부동산 명의를 실소유주로 변경해야 했다.

하지만 조 회장은 당시 이씨를 믿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2004년에 이씨에게 명의 변경을 요구했다. 그러자 이씨는 조 회장의 소유권이전등기 요구를 거부, 매년 넘겨주던 재산세 납부고지서도 조 회장에게 전달해주지 않았다. 이에 조 회장은 과세관청에서 직접 납세고지서를 발급받아 2005년도분부터 2009년도분까지 재산세를 납부했고 20094월 조카사위를 상대로 소유권이전등기 소송을 제기했다.

1심과 2심은 조 회장 패소로 판결이 났었다. 1·2심 재판부는 "이씨에게 소유권 등기가 된 지 10년이 넘어 소멸시효가 경과했다""그 전부터 소유권을 넘겨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해도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한 조 회장을 특별히 더 보호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원고 패소 판결했다.

하지만 대법원 재판부는 이씨는 조 회장의 반환요구를 거부하기 시작한 2004년 전까지만 해도 해당 부동산이 조 회장의 소유임을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세금 부담 같은 재산적 지출을 조 회장에게 적극적으로 요청했다며 소멸시효가 끝나지 않았다고 봤다. 재판부는 “2004년 전 이씨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 회장에게 소유권등기를 이전·회복해줄 의무가 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그 무렵까지 원고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중단됐고, 소송이 2004년부터 10년이 지나지 않은 2009430일에 제기됐기 때문에 이씨의 주장인 소멸시효 항변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