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치명적 칼날 개봉박두 - 칼럼
박근혜 치명적 칼날 개봉박두 - 칼럼
  • 윤광원
  • 승인 2005.06.22 11: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수장학회, 박정희 아닌 박근혜 자신의 문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를 한방에 끝장낼 수도 있는 치명적 칼날의 개봉이 박두했다. 바로 박대표 최대의 아킬레스건인 정수장학회에 대한 조사가 시작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위원장 오충일 목사)는 3일 서울 서초동 국정원 청사에서, 우선조사 대상 7건을 발표했다. 우선조사대상은 KAL 858기 폭파사건, 민청학련 및 인혁당사건, 동백림 유학생 간첩단사건,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 실종사건, 김대중 납치사건, 정수장학회, 중부지역당 사건 등이다. 이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이 정수장학회 의혹사건이다. 과거사 문제는 대부분 박대표의 부친이자 정치적 자산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문제지만, 정수장학회만은 박 전 대통령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박대표 자신의 문제가 될 수 있다. 고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강탈해 만들었다는 시비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에서는 과거사이지만, 동시에 박대표가 현재 이 장학회의 이사장으로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현재진형형의 쟁점인 것이다. 박대표는 정수장학회가 조사대상이 됐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이미 1일자로 이사장 자리에서 사임할 뜻을 밝혔다고 응수하면서, "이렇게 하는 것은 또 하나의 과거사가 될 것"이라고 노골적으로 불쾌감을 내비쳤다고 한다. 또 한나라당도 정치적 의도가 명백한 조사라며 반발하고 나섰지만, 같은 날 시작된 의원연찬회에서는 이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박대표에 대한 의원들의 맹공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점들은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반증한다. 사실 박 전 대통령의 공과에 대해서는 보는 관점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고, 이미 고인이 된 사람에 의한 지나간 시대의 일이다. 그러나 정수장학회 건은 다르다. 최근까지 박대표는 장학회에 거의 나가지 않으면서도 매달 거액의 판공비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이 장학회가 최대주주인 부산일보(지분 100%)와 부산MBC(지분 30%)에 영향력을 행사, 정치인이 언론사를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으며, 적지 않은 정치자금을 이 곳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 정수장학회 자체가 박 전 대통령이 자녀를 위해 마련한 비자금으로 조성됐다는 설도 있다. 사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박대표가 정치판에서 별다른 세력도 없으면서 일정한 영향력을 계속 유지해 온 데는 부친의 후광 및 본인의 역량 외에, 남다른 자금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특히 한때는 이회창 전 총재에 반발해 탈당, 자신만의 정당을 운영하고 있다가 다시 복당했는데, 복당사례비는 한 푼도 안 받았다고 하지 않는가. 필자가 보기에, 정수장학회는 향후 대권을 바라보는 박근혜의 최대 급소가 될 수 있다. 그 급소를 지난해부터 여권이 슬슬 건드리기 시작했고, 이제 과거사 진상조사 차원에서 칼을 들이댄 셈이다. 아마도 당분간은 장학회 형성과정에서의 강탈의혹만 다루면서, 본 게임은 남겨둘 것이다. 칼날은 보여주기만 하고, 아직 찔러오지 않았을 때가 더 무서운 법이다. 이 싸움은 박대표의 생사를 가름하는 대결이 될 것이다. 이는 정치인 박근혜가 아버지 박정희의 그림자를 완전히 넘어, 온전한 자신만의 내공의 힘으로 단련된, 진정한 국민적 지도자로 거듭날 수 있느냐를 판가름하는 것이기도 하다. 필자는 솔직히 박근혜가 아직은 대선후보(대통령감이 아니라 대선후보감) 감이 못 된다고 생각한다. 부친의 그림자 속 '공주'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그 때까지는 정수장학회 문제도 여권이 본 게임을 유보하고, 판을 벌이지 않을 것으로 본다. 2005년 2월 4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