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국 공관의 표준시에 따라 지난 5일 오전 4시(이하 한국시간)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국대사관 분관에서 시작된 헌정 사상 첫 재외 대통령선거가 지난 11일 정오 하와이 호놀룰루 투표소를 끝으로 종료됐다.
투표율은 전체 재외 유권자의 7.1%, 그러나 등록대비 투표율은 71%에 달해 재외선거 등록 당시 유권자가 대부분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5~11일 세계 110개국 164개 공관에서 선거권을 지닌 재외국민 223만3천695명(추정치) 가운데 15만8천235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11 총선 때의 투표율 2.5%보다 2.84배 높아진 수치며 투표자 수도 5만6천456명에서 3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 10월 20일까지 신고·등록을 마친 유권자는 전체의 10.1%인 22만2천389명이었다.
그러나 해외주재원·유학생·여행객 등 국외 부재자가 80.6%에 달하고 유권자 가운데 주민등록이 없는 영주권자는 4만3천201명(19.4%)밖에 안되 애초 취지에는 부합하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륙별 투표율은 유럽 77.2%(1만8천623명), 미주 72.9%(5만3천614명), 아프리카 70.8%(2천407명), 아시아 69%(7만7천931명), 중동 67.9%(5천660명) 순이었으며 재외공관 중 투표자가 제일 많이 몰린 곳은 주일 한국대사관(9천632명)이었다. 크로아티아 한국대사관은 27명으로 최소 투표 공관으로 기록됐다.
한편 투표용지가 담긴 투표함은 오는 16일 오후까지 국내로 발송된다. 외교통상부, 선관위, 우정사업본부 3개 기관이 참여하는 회송TF는 12일부터 각 정당 추천 참관인들의 입회하에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투표함의 이상 여부를 살핀 뒤 우정사업본부에 인계할 계획이다.
우정사업본부는 늦어도 17일까지 투표함을 넘겨받아 전국 251개 시·군·구 선관위로 보내고 투표함은 대선 당일인 19일 오후 6시까지 보관했다가 개표소로 보내 개표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