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제18대 대선을 하루 앞두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간의 치열한 접전이 이어지면서 대선 막판 변수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대선 막판 변수로는 세대별 투표율, 부산ㆍ경남(PK) 민심, 막판 네거티브 공방전 등이 꼽힌다.
전체 투표율도 중요하지만 이번 대선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는 세대별 투표율이다. '보수 대 진보'의 총력대결 구도에서 세대별 대결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20~30세대는 진보 성향, 50~60세대는 보수 성향이 뚜렷한 점을 감안하면 20~30세대의 투표율이 얼마나 50~60세대의 투표율에 근접하느냐가 관건이다.
만약 20~30대 투표율이 70% 선에 근접한다면 문 후보에게, 반대로 60%대 초반으로 떨어진다면 박 후보에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사에 의하면, 18대 대선의 투표율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8대 대통령선거에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유권자가 79.9%로 지난 대선 때 진행된 같은 조사 결과 67.0%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다.
이 중에서도 젊은층의 투표의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5년 전보다 20대 22.9%p, 30대 14.9%p, 40대 9.7%p, 50대 7.0%p, 60대 이상이 2.3%p씩 증가했다.
하지만 20~30 세대가 투표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도 정작 투표소에 등장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말고사 기간인 대학교도 있는 데다 갑자기 추어진 날씨도 투표장으로 향하게 하는 발걸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K 민심에 대해서는 마지막 날까지 쟁탈전이 치열하다. 민주통합당 문 후보가 여권의 ‘텃밭’인 PK에서 40%대의 지지율을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PK(경남·부산)는 새누리당의 전통적인 지지기반이다. 그러나 경남 거제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태어난 곳이다. 부산은 문 후보가 자란 곳으로 PK 표심이 흔들리고 있다.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양측이 PK에 주목하는 이유다.
두 후보 진영이 벌이는 네거티브 공방전도 초접전 판세에 일부나마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문 후보 측이 제기한 ‘국정원 여직원 비방댓글 의혹’은 막판까지 쟁점이 되고 있다.
경찰이 “댓글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새누리당은 “사실무근 의혹임이 밝혀졌다”고 문 후보를 비판했다.
이에 민주당은 “권력이 개입한 기획ㆍ부실수사”라며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관련 발언 논란도 관심이다.
새누리당이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를 거듭 촉구하는 가운데 일부 언론은 여권 관계자 등의 말을 인용해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사실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출처도 제시하지 않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어쨌든 盧 NLL 발언자료는 선거 전 대화록이 공개되지 않아 양 측의 유·불리를 따지기 어렵다.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후보의 사퇴는 문재인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찍이 이 후보는 통합진보당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태로 정치권의 ‘따돌림’과 국민의 눈총을 받았다. 야권연대 구상 밑그림에 이 후보와 통합진보당은 없었다.
그동안 이 후보는 ‘새누리당 심판’과 정권교체를 외치며 야권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민주당으로부터 끝내 러브콜을 받지 못했다. 민주통합당으로선 소수점 지지율의 통합진보당과 손잡을 메리트가 전혀 없었다.
하지만 이 후보는 TV토론을 거치면서 대선의 또 다른 변수로 급부상했다. 그는 ‘대성공’을 거두며 정치적 입지를 굳혔다는 평이다.
이 후보의 전격 사퇴 선언은 박 후보에게는 악재로 문 후보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예측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측은 “이 전 후보가 이른바 '종북(從北)논란'의 핵심 인물인 데다 이번에 후보 사퇴를 했음에도 선거 지원을 위한 국고보조금 27억원을 반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중도층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지지자의 자발적인 제보가 잇따르면서 수면 아래 잠복했던 논란이 연이어 터져 나왔던 이슈도 막판변수다.
‘박근혜 굿판’ ‘박근혜와 신천지의 관계’ ‘재외 부정선거 논란’ ‘십알단’등 예상치 못한 논란에 대해 야당은 “진실”이란 입장이고 여당은 “흑색선전”이라며 분노하고 있다.
지난주 기습적으로 벌어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아직 누구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형국이다.
투표 당일, ‘디도스’와 같은 부정선거 시도 역시 주의해야 할 ‘신종’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