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이 상수도 위탁운영 추진을 시작했다. 이에 관한 홍성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화제가 되며 수도 민영화에 대한 우려가 봇물 터지 듯 확산되고 있다.
20일 오전 10시 30분께 홍성YMCA, 참교육학부모회 홍성지회, 공무원 노조 충남지회 등은 홍성군청 정문앞에서 홍성군청 정문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에게는 요금폭단, 홍성군에는 재정적자’가 예상되는 상수도 민영화를 당장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대채위는 “상수도를 위탁운영 중인 논산시의 경우 올해 8월 1일부터 요금을 15% 인상하는 등 요금폭탄이 발생하고 있다”며 “홍성군은 용역을 공개를 거부하면서까지 위탁 운영을 강행하는 이유가 무언인가”라고 따졌다.
대책위는 또 국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물을 이윤창출의 도구로 보는 것을 비난하며 “특히 주민의 혈세를 가로채서 수자원공사만 배불리는 상수도 위탁운영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저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어 “군이 위탁운영을 결정한다면 그 같은 결정이 철회될 때까지 김석환 군수 퇴진 등 모든 역량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군 환경수도과 관계자는 “현재 홍성군의 상수도 유수율이 63%에 그치고 있어 누수율 최소화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군 입장에서는 예산도 부족하고 인력 및 기술도 없어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기관에 위탁해 관리하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예산도 상수도 민영화로 골머리를 앓고있다.
예산참여자치연대는 지난 17일 오전 11시 예산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에서 예산군 상수도 민영화에 대해 적극 반대의사를 밝히고 최승우 예산군수와 면담의 시간을 가졌다.
예산참여자치연대는 “정부가 수도민영화는 없다고 2009년에 발표를 해 놓고 1년도 안돼 민영화를 전개하는 것은 무엇이냐”며 의혹을 제기한 뒤 “논산시의 경우 12년 동안 298%의 물값 인상이 있었으며 올해도 15%의 인상으로 지역주민들이 울상이다”고 언급하며 예산군의 철저한 사업성 검토를 주문했다.
한편 충정도 지역의 상수도 민영화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우리 지역도 민영화가 될까 걱정이다”, “올것이 오는구나”, “물은 건들지 마라 좀 씻고 살자”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