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원장은 차기 정권의 토대를 쌓고 밑그림을 그리는 중책을 맡게 될 것인 만큼 박근혜 당선인이 가장 심혈을 기울여 뽑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수위원장 인선에 따라 차기 정권의 성격과 향배도 어느 정도 가늠하게 될 것이라는 것도 일반적 관측이다.
1987년 13대 대선 이후 등장한 역대 정권의 인수위원장을 보면 전체 5명 가운데 정치인 출신이 3명, 학자 출신이 2명이다.
노태우 정권 출범 때는 고(故) 이춘구 전 의원이 취임준비위원장을 맡았다. 신군부 출신의 실세였던 이 전 의원은 헌정 사상 첫 인수위원장으로서 전두환 전 대통령과 노태우 당선인 모두에게 인정받았다.
김영삼 정부 출범 때는 인수위원장으로 대학교수 출신의 정원식 전 총리가 발탁됐다. 학자풍의 세련됨과 전문성이 탁월해 새 정부의 개혁 비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데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에는 DJP(김대중+김종필)연합으로 인해 논공행상 논란이 일자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정치적 중량감 있는 인물이 필요했다. 따라서 4선의 이종찬 당시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에게 인수위원장을 맡겼다.
노무현 정부 때는 임채정 전 국회의장이 인수위를 책임졌다. 민주당 재야 출신 의원들의 맏형이자 이상과 현실을 조화시키는 능력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 낙점 배경이다.
현 이명박 정부의 인수위원장은 직선제를 통해 4선의 대학총장을 거치면서 탁월한 대학 경영능력을 보여줬던 2007년 당시 숙명여대 총장, 이경숙씨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