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패배 후 위기의 민주통합당을 살릴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 선출이 28일 4선의 신계륜, 3선의 김동철 박기춘 의원간 3파전으로 치러지게 됐다.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계륜 의원. 그는 당내 최대 계파인 범(汎)친노로 분류되는데다 고(故) 김근태 상임고문계 모임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소속으로 당내 최대계파 두 곳의 지원을 동시에 받고 있다.
그러나 신 의원이 문재인 후보 선대위의 특보단장을 맡아 대선 패배 책임의 중심에 있고 친노계에 속한다는 점 때문에 비판론도 만만찮게 나오고 있어 28일 경선에서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예측하는 분위기다.
신 의원은 출마선언문에서 ‘민생 현장으로 더 낮게 나아가는 민주당’을 모토로 당의 혁신을 강조했다.
또 범 주류에 속하는 박 의원은 정통야당의 위상 재정립을 내세웠다. 두 차례의 원내 수석부대표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수도권 출신의 중도성향으로 계파색이 옅은 편이다.
김 의원은 ‘김한길 추대 카드’가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막판에 뛰어들었다. 대선 패배에 대한 처절한 반성과 중도층 흡수가 키워드이다.
그는 “선거패배의 직접적 책임이 있는 이들이 석고대죄하기는 커녕 다시 당권도전에 나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친노 주류측을 정조준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