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성공위해 한국 주도적 역할해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27일 오후 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을 갖고 대북 정책의 투명성을 재차 강조했다.
박 대표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 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을 통해 “최근 한미정상회담, 남북대화 재개 등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정부에 한 가지 요구할 것은 대북 정책의 투명성”이라면서 “국민들의 지지 속에서 실효성 있는 대북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초당적인 협의를 거치고 투명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지난 20일 북한 김정일 위원장과 면담을 하고 돌아온 정동영 장관의 면담요청을 거절하면서 “(국민이 모르는 것을) 야당 대표만 들을 필요는 없다”면서 투명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후 정 장관은 김정일 위원장의 북미 수교시 미사일 폐기용의 발언, 방북승인절차의 완화 요구 등을 추가로 공개했다.
박 대표는 북핵문제와 관련, "6자회담의 5개 당사국들이 한 목소리로 북한에게 `대담하고도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핵을 완전히 포기할 경우에는 체제안전 보장과 경제지원, 북미수교 등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약속하고, 거꾸로 핵개발을 강행할 경우에는 냉혹한 결과가 기다리고 있다는 점을 북한에게 분명히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대북 특사로 활동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책을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면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며 "그러나 야당 대표라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얘기는 아니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어 "6자 회담의 최종 목표는 한반도 비핵화를 이루는 것이며 그 시작은 북한이 6자 회담에 복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그러면서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에 긴장완화와 평화 정착를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거듭 밝혔다.
박 대표는 이어 '앞으로 대통령이 되면 과거사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사과와 반성을 요구하겠냐'는 한 일본 특파원의 질문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은 사과의 진정성에 대해 예민하게 보고 있다"며 "천황이나 총리 등이 유감을 표현했다면 더 이상 그것이 문제가 안되도록 말을 신중히 하는 것이 두 나라 우의를 위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경제문제와 관련, "지난 1분기 성장률은 작년 1분기 대비 2.7%, 작년 4분기 대비 1.6% 성장에 불과해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이 무너지고 있다며 장기불황을 걱정한다"면서 "정부의 경제정책이 크게 잘못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표는 "국내자본이든 외국자본이든 투자를 살릴 수만 있다면 성역 없이 규제개혁과 개방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직접 돈을 쓰겠다고 할 것이 아니라 세금을 낮춰 민간이 더 투자하고 더 소비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